자살.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가 13년 만에 최다를 기록한 가운데 올해 상반기에도 자살 사망자가 7천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잠정 집계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자살 사망자는 7천6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상반기 7천844명보다는 감소했지만 2023년 상반기 7천142명과 비슷한 수준이며, 2022년 상반기 6천436명보다는 여전히 많은 수치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자살 사망자를 연령별로 살펴본 결과 50대가 22.4퍼센트(%)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이어 40대(19.0퍼센트(%)), 60대(15.1퍼센트(%)), 30대(13.5퍼센트(%)), 70대(9.8퍼센트(%)), 80대 이상(8.9퍼센트(%)), 20대(8.8퍼센트(%)), 10대 이하(2.5퍼센트(%)) 순으로 나타났다.

이대로라면 연간 자살 사망자 수가 2011년 이후 최다를 기록한 지난해(1만4천872명)에 육박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최민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원 등은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제사회보장리뷰' 가을호에 게재한 '자살 예방의 공중보건적 관점과 시사점' 글에서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적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며 "공중보건적 접근이 자살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 연구진은 학술지 '랜싯 퍼블릭 헬스'(Lancet Public Health)에 발표됐던 '자살 예방의 공중보건적 관점' 시리즈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면서, 자살을 단지 의료적 측면에서 볼 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요인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자살 생각이나 행동을 경험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표적 개입'을 넘어, 자살 위험이 높은 대상에 대한 '선별적 개입'과 전체 인구 집단에 대한 '보편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인 공중보건적 자살 예방 전략으로는 자살 수단에 대한 접근 제한, 경기 침체·실업 등에 대한 정부 대응, 자살을 해결책으로 인식하게 하는 언론 보도·콘텐츠 지양,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캠페인 등이 거론됐다.

최 연구원 등은 "범정부적 컨트롤타워가 각 부처의 재정·노동 정책 등이 자살에 미칠 영향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자살률에 미칠 가능성이 현저한 경우 이에 대처하는 보완적 정책을 살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는 자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보건복지부 차원의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경제·노동·교육·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