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는 본부 직원들에게 승인 없이 정보를 유출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받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 Washington Post)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티브 파인버그 국방부 부장관 명의 초안에 따르면 국방장관실 및 합동참모본부 소속 군인과 민간인 5천여명이 승인 없이 비공개 정보를 유출할 수 없다는 내용의 서약서에 서명해야 한다.
초안에는 “민감한 정보 보호는 국가안보와 전사의 안전, 고위 간부의 중요 결정권 보호에 매우 중요하며 불응 시 처벌될 수 있다”는 파인버그 부장관 언급이 포함됐다.
국방부는 장관실 및 합참 소속에 대한 무작위 거짓말탐지기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본토로 소집돼 대통령과 국방장관 연설 듣는 미 지휘관들.사진=연합뉴스
WP는 미 정보기관의 정기 거짓말탐지기 규정과 연방수사국(FBI,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의 유출자 색출 사례를 언급하며 국방부의 무작위 조사는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초안에는 서명 및 조사 범위가 명시되지 않아 4성 장군부터 행정 직원까지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숀 파넬 국방부 대변인은 WP 질의에 “사실이 아니고 무책임한 보도”라며 답변을 거부했다.
최근 국방부는 기밀 외 비기밀 정보도 승인된 내용만 취재하겠다는 서약을 기자들에게 요구해 논란을 빚었다.
서명 거부 시 출입증 취소 방침에 미국 주요 언론과 단체가 규탄 성명을 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지난달 30일 미군 고위 지휘관을 본토로 소집해 정신교육을 실시했다.
WP는 이 조치가 정보 유출자 색출과 내부 통제 강화 기조에 따른 것으로 풀이했다.
전직 국방당국자는 “언론에 정보를 흘리는 이들을 억누르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마크 자이드 변호사는 “직원들을 위협하고 통제를 강화하려는 조치”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