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진 앞 발언하는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 10월27일 서울 영등포경찰서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서울경찰청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체포됐다가 풀려난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수사담당자에 대한 직권남용 고발을 예고한 데 대해 “그건 그분 생각”이라며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3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이 전 위원장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정해진 절차대로 진행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전 위원장 측은 전날 소셜미디어(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피의자 신문조서 3건을 공개하고 경찰 수사담당자를 직권남용으로 고발 검토를 밝힌 바 있다.

이 전 위원장은 지난 10월 2일 공직선거법과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로 자택에서 체포됐다가 풀려난 상태다.

경찰은 국민의힘이 민중기 특별검사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고발해 서울 종로경찰서에 배당된 사건에 대해 4일 고발인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아직 서울경찰청으로 사건을 이관할 계획은 없다”며 “조사를 해보고 수사 경과를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민중기 특검은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수사를 맡고 있으며, 국민의힘은 미공개 정보 이용 주식 차익 의혹 등을 이유로 지난 10월 22일 고발했다.

주식 차명거래 의혹을 받는 무소속 이춘석 의원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자가 지난달 20일 간담회에서 밝힌 85명에서 89명으로 4명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조사 대상자가 89명”이라면서도 “입건된 피의자 인원 수는 민감한 사안이고 한 번 더 조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밝히기 어렵다”고 했다.

이 의원은 보좌관 명의로 억대 주식 거래 의혹을 받으며 지난 8월부터 수사가 진행 중이다.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에 대한 수사와 관련해서는 “34명 조사한 뒤 9명을 피의자로 입건했다”며 “6명은 조사를 마무리하고 3명에 대해서는 조사가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또 “8번에 걸쳐 압수수색을 했고 압수물을 분석 중”이라며 “입건된 9명은 모두 출국금지를 시켜놨고 주요 피의자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수사는 1월 19일 서부지법 난동 사태와 연계된 내란 선동 혐의 등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경찰은 상설특검에서 수사하는 ‘관봉권 띠지 분실 의혹’과 관련해서는 “국회증언감정법 위반과 직무유기로 고발됐고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관봉권 띠지 분실 의혹 관련 피의자 소환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상설특검과 별개로 우리는 우리대로 수사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의혹은 서울남부지검의 건진법사 압수수색 과정에서 5천만원 관봉권 띠지가 분실된 사건으로, 지난 10월 24일 법무부가 상설특검 설치로 결정했다.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의 김세의 대표와 관련해서는 21건의 고소·고발 사건을 접수하고 이 가운데 16건을 집중수사팀에 배정했다고 설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철저하게 관리하지 못했던 부분이 있는 거 같아 집중 수사팀을 지정해 사건을 한곳으로 모았다”라며 “앞으로 속도가 좀 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김세의 대표는 명예훼손 등 혐의로 다수 고소당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