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자해·자살을 시도해 응급실을 찾은 환자 10명 중 4명은 10대와 2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는 9일 발표한 ‘2024 주요 중증 응급질환 지표’에서 지난해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자해·자살 시도 건수는 3만5천170건이라고 밝혔다.
2023년보다 1만1천189건 줄었으나 전체 응급실 이용 감소로 비중은 0.8퍼센트(%)를 유지해 최근 3년간 동일한 수준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2만1천479건으로 61.1퍼센트(%), 남성이 1만3천691건으로 38.9퍼센트(%)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3.6퍼센트(%)로 가장 높았고 10대 16.3퍼센트(%), 30대 14.7퍼센트(%), 40대 14.3퍼센트(%), 50대 13.1퍼센트(%) 순이었다.
10대와 20대 합계는 39.9퍼센트(%)로 10명 중 4명꼴이었다.
남성은 20대(18.9%), 50대(16.1%), 40대(15.5%) 순이었으나 여성은 20대(26.6%), 10대(20.6%), 30대(15.1%)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월별 내원 비율은 1월이 10.7퍼센트(%)로 가장 높았고 4월 9.3퍼센트(%), 2월 9.1퍼센트(%) 순이었다.
최초 중증도 분류 결과 중증(케이타스(KTAS,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1∼2단계)은 42.0퍼센트(%)، 경증(KTAS 4∼5단계)은 13.2퍼센트(%)였다.
내원 시 이미 사망한 비율은 1.6퍼센트(%), 내원 후 사망은 4.8퍼센트(%)였다.
남성 사망률은 7.9퍼센트(%)로 여성 2.8퍼센트(%)보다 2배 이상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