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배송 차량.사진=연합뉴스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오전 0시부터 오전 5시까지의 초(超)심야 배송 제한을 제안하자, 쿠팡 노동조합(쿠팡노조)과 여러 소비자 단체가 일할 권리 및 소비자 편익 침해를 이유로 강력히 반대하고 나섰다.

새벽 배송 시스템을 둘러싼 노동계와 업계 간의 논쟁이 가열되는 가운데, 민주노총의 제안이 가져올 파급 효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쿠팡의 직고용 배송 기사 노조인 쿠팡노조는 15일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심야 배송 금지 제안이 "간선 기사들과 물류센터 노동자들의 일자리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쿠팡노조는 더 나아가 이번 민주노총의 제안이 "민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으로 보인다고 주장하며 민주노총과 각을 세웠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역시 새벽 배송 전면 금지가 "소비자나 자영업자의 불편을 넘어 물류 종사자, 연관 사업자 등 광범위한 사회 구성원의 일상과 생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지적하며 우려를 표했다.

이는 새벽 배송이 단순히 특정 서비스 제공 여부를 넘어선 사회경제적 문제임을 시사한다.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계 또한 새벽 배송 금지 논의에 대한 현실성 부족을 강조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주문 후 1시간에서 2시간 안에 배송하는 퀵커머스(즉시배송) 경쟁이 치열한 현 시장 상황에서 새벽 배송 금지 논의는 "현실성이 떨어지고, 실익도 없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이들은 오히려 쿠팡이 새벽 배송 품목을 조정하고 배송 단가를 현실화하는 등의 근본적인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논쟁의 초점이 쿠팡의 운영 방식으로 모여야 한다는 시각을 제시했다.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오전 5시 출근한 택배 기사들이 쿠팡 캠프에 도착해 분류 작업과 프레시백 반납 작업을 하지 않고 곧바로 배송에 나선다면 과로 부담은 현격히 줄고 소비자들의 초심야 시간 규제로 인한 불편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들의 제안에 따른 개선 효과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