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2월26일 제국신문 제5권 제40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지금 일조의 형편이 갑오년 일청 형편과 같다)
삼십여 년 전에 미국 상선 한 척이 길을 잃고 대동강으로 밀려 들어와 평양에서 배와 사람이 불에 탄 후에, 미국에서 청국을 향하여 시비한즉, 청국이 영국과 법국에 양국 전쟁을 겪은 후에 서양을 가장 두렵게 여겨 조선은 청국과 상관이 없는 나라라 하는지라. 미국 해군제독 셰필드 씨가 사실(査實)차로 왔다가 강화서 소동이 일어나매,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양란(洋亂)이라 하는 것이 이것이라.
일천팔백팔십이 년에 한미 양국에 통상조약을 정하였으니, 이때부터 미국이 대한을 독립국으로 대접함이나, 청국은 속으로 은근히 대한을 속방(速邦)이라 하여 오장경, 황사렴 등을 보내어 속으로 조선을 위협하며, 겸하여 조선 신민도 독립이 무엇인지 몰라 남의 종노릇을 감심하는바, 이때 노국이 청국을 꾀이며 위협하여 청국 북방 토지를 해마다 베어 가는지라. 만일 청국이 조선의 상국이라 하며 조선을 노국에 허락하여 주면 각국도 어찌할 수 없는 고로, 청국을 누누이 권면하여 조선을 독립시키라 하나 종시 듣지 아니하므로, 일본이 더욱 업신여기나 어찌하는 수 없는지라.
이등박문과 리홍장이 천진에서 약조를 정하는데, 그 약조 중에 조선에 일이 있어 군사를 보낼 때에는 두 나라가 먼저 의론하고야 행한다 하는 구절이 있는지라. 리홍장은 그 세력만 믿고 조약을 중히 여기지 아니하므로 심상히 여기고 허락하였으나, 이등박문은 이때부터 전재(戰災) 예산을 차림이라.
갑오년 동학의 난리가 진정키 어렵게 되자 청국에 구원병을 청하는지라. 리홍장이 전일 약조는 생각지 않고 즉시 군사를 파송하는지라. 일본이 청국에게 물은즉, 조선 독립에 대하여는 질정(質定)한 대답이 없고, 다만 일본더러 참예치 말라고 하는지라. 일본이 즉시 동병하여 두 군사가 조선에서 만나 접접하였은즉, 이때에 만일 청국이 황연히 깨닫고 남의 권함을 들었던들 그 욕을 아니 당하고 동양에 다행 되었을 것이거늘, 겉으로는 독립이라 하여 공문 약조까지 거래하여 놓고 속으로 위협하며, 만일 대청을 거역하다가는 큰 일이 나리라 하며, 남이 그 이허(裏許)를 모르는 줄로 알다가 이 지경을 만들고···.
우리나라에서 이때에 정신을 차렸더라면, 미국과 일본이 기왕 독립으로 대접하여 균평한 통상국으로 약조를 정하고 공사가 들어와 있으니 이것을 들어 청국에 위협을 받지 말고 자주독립을 드러내어 공포하였으면, 청국이 기왕 일 미 양국과 조선을 독립국으로 대접한다는 약조가 있었은즉 감히 동병하기까지 이르지 못하였을 터이고, 설혹 동병하여도 일 미 양국이 공담(共擔)으로 막아주었을 것이거늘, 타국이 독립하라 권하면 그리 하노라 하며, 청국이 물으면 상국을 각별 섬기노라 하여, 좌우간에 질정이 없이 갈 바를 모르니, 내 일을 내 손으로 결정을 못하다가 필경 남이 작정하여 주기에 이른지라. 어찌 당시 집사자들의 책망이 아니리오.
오늘날 일로(日露)에 상지(相持)가 또한 이와 같아서, 정부에서 바깥 형편이 어찌 되는지는 모르고 어동어서( 於東於西) 간에 작정이 없어서, 이 사람의 말을 들으면 이렇게 하는 체하다가, 저 사람의 말을 들으면 저렇게 하는 체하여, 남의 수하에서 머리를 들지 못하며, 남의 보호 안에서 벗어날 줄을 모르므로, 정부당이나 백성의 당이라고는 들어보지도 못하고, 다만 일당(日黨)이라 아당(我黨)이라 하는 말이 세상에 파다하니, 우리는 누가 일당이며, 누가 아당인지 모르기도 하겠고, 알려고도 아니 하거니와, 어찌하여 대한국 대한 정부에 일 아 양당이 상지하느뇨. 이는 주심이 없어 남을 의뢰하는 까닭이라.
잔약한 나라가 남을 의뢰 아니 하면 어찌 하느뇨 할진데, 이는 정부와 백성이 서로 의지하면 그 중에서 권력이 생겨서 남을 의뢰할 마음도 없어지고, 남이 보호하여 주마는 말도 없어지리니, 이러 하고야 지금 세상에 나라를 보존하는 법이거늘, 이 나라는 그렇지 아니하여, 백성은 정부를 찬조하여 백성의 직책을 할 줄 모르고, 가만히 물러앉아 난치(亂治) 안위(安危)를 모두 당로(當路)한 이들이 알아 할 것이지 우리는 상관도 없고 상관할 권리도 없다 하니, 첫째 백성이 정부를 찬조하지 않는 책망이오.
정부 관인들은 국가 안위는 고사하고 가기 자기들의 이해 시비만 생각하여 헤이리되, 백성이 만일 공론을 세우는 날은 우리의 위엄이 없어지는 날이니, 우리의 위엄과 권세가 없어져 하고 싶은 일을 임의로 못할지라. 불가불 백성의 명색이라고는 합력(合力)도 못하고, 공론(公論)도 없게 하여야 한다 하고 감히 머리를 들지 못하게 만들어 놓은즉, 백성이 힘없는 날은 정부가 따라서 약하여짐이라. 백성이 약하여 정부를 받칠 힘이 없으므로 백성과 정부 사이에 서로 정의가 상통치 못하여, 정부에 위태한 일 생기는 것을 무식한 백성들은 도리어 상쾌히 여기는 법이라. 외국이 이 형편을 보고 속으로 위협한즉, 자연 의지할 데 없어 남을 청하여 보호를 구하나니, 이럼으로 백성이라, 정부라 하는 당론은 이름도 없고 일당(日當)이라, 아당(我黨)이라 지목하여 서로 알기를 아인이니 일인으로 여기는지라.
그런즉 지금이라도 속으로 은밀히 하는 일을 먼저 없이 하여야 년 전 일청사단(日淸事端) 같이 만들지 않을 것이니, 실상으로 공포하여 어느 나라 사람이든지 속으로 운동하는 것은 당초 거절할 일이다. 백성을 일으켜 국가 화복 안위를 관민이 함께 당하자고 하여 세상에 드러내 놓고 합의하여 의론할진대, 외국인이 서로 막아 가며 상관 못하게 하고 앉아 볼 터이니, 오늘 일당이라 아당이라 하는 자 암만 있은들 뉘게 가서 의론하리오.
(다음 호는 1월3일 제5권 제47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