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3월27일 제국신문 제5권 제64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이승만의 청일전쟁기 소개 기사)

(서책이 아니면 학식을 발달하지 못함이라)

서책이라 하는 것은 곧 사람의 귀와 눈이라. 사람이 소경과 귀머거리 외에야 누가 귀와 눈이 없으리오마는, 다만 옆에 소리나 듣고 앞에 빛이나 볼 뿐이고 심지어 막힌 곳과 가린 것은 보고 듣지 못하나니. 소경과 귀머거리에 비하면 얼마 나으나, 천리 밖 만리 밖을 소상히 듣고 보는 자에 비하면 얼마 나으나, 천리 밖 만리 밖을 소상히 듣고 보는 자에 비하면 귀 없고 눈 없는 이보다 얼마 나을 것 없는지라. 멀리 듣고 멀리 보는 법이 있으면 무엇을 아끼며 어려워서 배우지 않으리오.

지금 세상에 전어기(傳語器) 전기선(電氣線)이 아무리 통신하기에 신기하며, 천리경 현미경이 멀리 보기에 아무리 경첩(輕捷)하다 하나, 이것은 사람마다 가지기도 어렵고, 설령 저마다 가졌다 할지라도 오히려 다 듣고 다 보지 못하되, 다만 서책과 신문은 가장 경첩하고 신기한 보배라.

천만고 이전에 현인군자들에게 가르친 말씀이며, 영웅호걸의 고담준론을 면대(面對)한 듯이 듣고 앉았으며, 천만리 밖 세계 만국에 조석으로 변하는 형편과 정치 태도를 거울 속같이 들여다보나니, 이렇게 아는 사람과 십리 밖 일이 어떤지 백리 밖에 무슨 변이 있는지 모르고 지내는 사람을 비하면, 어찌 밥 발레가 아니리오. 외국 사람들은 각색전문 실학(實學)의 서책은 이를 것도 없고, 각국 정치 교화와 풍속 인정 등류 각색 새 서책을 날마다 지어내는 것이 한량없어서, 어디 무슨 새 소문이 있거나 이상한 일이 생기면 일일이 탐지하여 실상대로 기록하며, 한 가지 전문학 책도 해마다 새로 발명하여, 삼년만 지내면 벌써 묵은 책이라 하여 새로 난 것을 구하나니, 이러므로 지식이 날마다 넓어지며, 학문이 해마다 진보되어, 오늘 세계에 굉장한 기계 제도와 세계에 문명한 정치 학식이 다 한때에 된 것이 아니고 지난간 오륙십년 동안에 점점 늘어서 저렇듯 된 고로, 오는 백 년 동안에는 바다를 말리고 산을 옮기는 기계가 생길는지 모른다 하는 바라.

신문의 이익은 우리나라에 한두 가지 신문이 있어서 보는 이들은 다 짐작하는 바이거니와, 깊고 장황한 사정은 신문으로도 다 못하는지라. 마땅히 서책을 새로 지어내어야 우리나라 사람들이 소경과 귀머거리를 면할 터이거늘, 실제로 학문 책은 지어낼 사람도 없거니와, 책 권 간 번역을 하거나 지어낸다 하여도 재정이 없어 발간을 못하니, 실상 학문이야 어찌 얻어들어 보리오. 실로 한심한 일이라.

전 주사(主事) 현채 씨의 호는 백당이라. 백당 선생이 연래로 교육상에 대단히 주의하여, 다른 힘도 적지 않거니와, 서책을 번역하여 낸 것이 여러 길이라. 국한문으로 섞어 보기 쉽도록 만들어, 여간한 문자나 아는 이는 다 보기 좋게 박아 냈으므로 보고 깨닫는 사람이 또한 불소(不少)한지라. 당초 빈한한 선비의 처지로 지내기가 어려웠으나, 다만 그 성력(誠力)으로 재정을 구집하여, 부지런히 일 하여서, 이렇듯 한 것이라. 그 공효를 깊이 감사히 여기노라.

그러나 힘에 부쳐 책을 많이 발간하지도 못하거니와, 이천 만 남녀를 통계하여 보면 불과 홍로점설(紅爐點雪)이라. 우리는 국문 보는 형제자매들을 위하여 책을 많이 발간도 하고, 만들기도 하는 것이 더욱 긴급한 줄로 알고 항상 힘써 주의하더니, 재작년에 비로소 일청전쟁기(日淸戰爭起)라 하는 책 한 길을 국문으로 번역하여, 간간 번역인의 주의로 분석하여 놓았나니, 이는 곧 갑오년에 청국과 일본이 전쟁한 사적이라. 이로 굉장하거니와 더욱이 대한에 관계되는 사건인데, 우리나라에서 전쟁된 줄은 모를 사람이 없으나, 그 실상이 어찌하여 되었으며, 동양과 우리나라에 관계가 어떠하며, 어느 나라가 참 어찌 패하고, 어느 나라는 어찌 이겼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장차 어찌 하여야 강토를 보전하며, 동양을 어찌하며 유지할는지 아는 사람이 몇이나 되느뇨.

이 책은 삼국지나 임진록(壬辰錄) 등 고담책(古談冊)과 같이 한두 사람의 의견으로 지어낸 것이 아니라, 그 나라 황제의 국서들과 조칙 반포된 것이며, 정부와 공사 사이에 내왕한 공문들이며, 전권대신들이 담판한 문답과 각국 전보, 신문에 확실한 진본을 모아다가 합하여 사적을 만들고, 방책과 형편을 의론하여 놓은 것이니, 눈으로 보고 귀로 들은들 어찌 이렇듯 소상(消詳) 분명하리오. 이것을 보고 앉아 있으면 세상 형편과 각국 태도며, 우리나라의 장래 일을 거울 속같이 볼 터이니, 어찌 사람의 귀와 눈이 아니라 하리오.

이 책을 만들어 놓고 발간할 힘이 없어 오늘까지 묶어 두었으니 과연 애석한 바라. 몇 천 길 박아내어 전국에 퍼졌으면 인민의 귀와 눈을 열어주는 일일 분더러, 아는 대로 다투어 보기를 원할 터이니, 값을 적게 매겨 방방곡곡이 지소를 내고, 광고를 붙여 , 사다 보기 편리케 하면, 자본 빼기도 어렵지 않을지라. 유지한 자본 있는 동포들은 큰 사업상에 유의하거든, 본사로 찾아오시면 자세히 의론하겠노라.

(다음 호는 1월 10일 제5권 제65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더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