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4월29일 제국신문 제5권 제92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영일 동맹에 대한 각국 의견)

상해의 어떤 신문이 영일 동맹에 대하여 의견을 말하였는데, 그 신문이 지금이야 왔기로 번역하여 등재하노니, 그 글에 왈(曰); 본사에서 영일 동맹을 보고해 오되 이 일이 의사 밖에 됨이라 하노니, 이로부터 동양이 태평을 보전하며, 인하여 서양에도 유익할지니, 이 약조를 그 관계되는 청국과 고려에 전하면 반드시 생각이 있을지라.

대개 동서양의 태평을 보전하기는 전혀 청국과 고려에 있나니, 비컨대, 각국의 관계가 쇠사슬 같아서 한두 코라도 상한 곳이 있으면 모두 다 요동될지라. 지금 청국과 한국이 썩어 상한 곳이거늘, 이 약조의 대지(大旨)가 그 토지와 국권을 보전하는데 있은즉, 상한 곳을 이어서 끊어지지 않게 함이라. 온 사실이 흔들리지 않기를 위주 함이로다. 연내로 각국의 근심이 청국의 강성함에 있지 않고 청국이 약한데 있나니, 이는 청국이 약한즉 강한 자가 욕심을 부려 온 지구가 소동될 기틀을 만들 것이니 만국의 손해가 어떠하겠느뇨. 만일 강성할진대 각국이 서로 상지하여 넘겨다보는 마음이 없어지리니, 태평의 기틀이 어찌 이에 있지 않으리오.

지금 이 약조가 되었은즉 깊이 바라는 바는, 일정한 다섯 해 세월을 허수히 보내지 말며, 이 정한 것을 예사 약조로 알지 말고, 또한 외국인을 원수로 여겨 군함과 병정이나 확장하여 남을 방비한다는 생각을 두지 말고, 학교를 흥왕하여 교육을 위주하며, 상업과 공업을 흥항하여 오년 안에 부강을 이루어야 하리로다. 청국이 쇠약하여 동아(東亞) 대주(大洲)에 처한 것이 대로상에 돌무더기 있는 것 같아 항상 행인의 거마를 상해하니, 속히 치워서 여럿이 편리케 하는 것이 어찌 합당치 않으리오. 이 약조가 미리 날짜를 정하여 그 주인으로 하여금 자의로 치우기를 권함이니, 그 안에 치우지 않을진대 어찌 영구히 버려두리오. 반드시 여럿이 나서서 없이 할지니, 심히 위태하리로다.

각국이 이 약조를 매우 좋게 여기는 것은, 청국이 흥왕할 기망을 다행히 여김이거늘, 청인들은 독립할 생각은 없고 공연히 의심을 두어 장차 내정을 간예하련다, 무슨 이익을 도모하련다 하여 고루한 의견으로 편벽된 생각만 가지고 남을 막으려고 하니, 어찌 개탄치 않으리오. 생각하여 보라. 당당한 제국으로 남의 보호를 받는 것이 욕되는 줄 알지 못하니, 일이년을 거연히 지내면 필경은 보호도 어찌 못할 뜻을 어찌 깨닫지 못하느뇨. 생각이 이에 미치니 기쁘던 마음이 도리어 두렵도다.

토이기국을 생각하라. 이 나라가 날로 망하여 가므로 사실상 상함과 같아 영(英) 법(法) 덕(德) 삼국이 지탱하여 보호하나니, 그 토이기는 할 수 없어 그러함이거니와, 청국은 아직도 보아주려는 나라가 없지 않은지라. 결단코 오년 세월을 허송하지 말 것이니, 가위 시호시호, 부재래(可謂 時乎時乎, 不再來)로다.

경자년(庚子年)에 의화단(義化團)이 일어나기 전에 미국이 서양 각국과 합하여 청국을 보존하며 전국을 열어 놓을 약조를 정하려 하다가, 난리가 나서 성사 못되고, 영(英) 덕(德)이 약조하여 난리를 빙자하고 토지를 점령치 말자 하자, 미국이 찬조하다가, 지금 난리가 평정된 후에 영(英) 일(日)의 조약이 이루어지니 미국 덕국이 크게 기뻐하여 일본에 전보하여 치하하였으며, 법(法) 아(俄) 양국도 또한 해롭다 아니 하나니, 각국이 다 좋게 여김이로다.

심지어 각국의 신문으로서는 덕국(德國) 신문이 이 약조를 크게 관계있어 하면서 동양을 태평케 하리라 하며, 여러 나라 신문이 다 즐거이 찬성하는 뜻이고, 아라사 신문도 또한 찬성한다 하며, 영일(英日)은 더 말할 것 없거니와, 일본은 더욱이 영광스럽게 여기니, 이는 일본이 동양에서 일어나 만국공회에 처음 들고 세계에 유명한 나라와 약조를 정하였으니 그 명예가 가장 굉장한 연고라. 그 끝에 하였으되, 영화를 인연하여 교만한 마음이 생겨서는 못쓸 터이니 도리어 조심할 일이라 하였더라. 이로 볼진대, 동양에 통상 전도와 교섭, 우체 등 모든 사무가 날로 흥성할 줄을 기약할지라. 청국이 다시 깨우기를 바라노라 하였더라.

이상은 상해 신문이 말하여 청국을 염려함이니, 이것을 볼진대, 전일에 본사에서 설명한 말에 관계가 어떠한지 짐작할지라. 청국의 관계가 곧 대한의 관계이니, 다섯 해 세월을 오늘같이 보내다가 장차 후회 막급할 염려를 생각들 좀 하기 천만번 축수하노라.

(다음 호는 1월 17일 제5권 제93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