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5월5일 제국신문 제5권 제34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크게 위태한 일)
전일에 여러 날 비가 아니 와서 가무는 빛이 있는 고로 민간에 의론이 흉융하여, 흔히 하는 말이, 년 내로 가뭄 드는 것이 다른 연고가 아니라 외국인들이 철로를 놓아 산천의 혈맥을 끊은 고로 이러하다 하여, 도청도설(道聽塗說)에 인심이 대단히 불평하다 하니, 이런 말은 전혀 백성이 어리석은 데서 나는 것이라. 그렇지 아니한 이유는 차차 말하려니와, 우선 우리나라 관민이 그 위험함을 먼저 깨달아야 할지로다.
년전 청국에 의화단(義和團)이 당초에 이 주의에서 생겼나니, 이는 당시 위에 앉은 이들이 개명을 싫어하여 은근히 외국인들을 반대하므로 백성들이 그 바람에 따라 이런 요언을 내어 가지고, 하나가 붙자 백천(百千)이 따라 나서 전국이 일시에 소동되어 가지고, 필경 저희가 다 서로 밟아 어육이 되고, 황실까지 위태하였으며, 철로를 보호한다 하여 외국 군사가 삼사만 명씩 둔취하여 내지에 편만하므로, 그 지방 백성은 모두 외국 군사의 밥이 되나니, 그 해(害)가 어떠하뇨. 필경 철로는 날로 더 쌓이며 외국인은 날로 더 들어오므로, 외국 상민들이 들어오는 대로 청인 대접하는 것은 점점 심하여 동등 사람으로 여기지 아니하니, 이는 어두운 백성의 백번 경계할 일이거늘, 대한 사람들이 지금 이런 의론이 생기니 백성의 어리석음도 가히 한심하거니와 장차 그 화가 어디로 돌아갈는지 깊이 헤아려들 볼지어다. 심히심히 위태하도다.
대개 지금 세계에 철로 아니 놓은 곳이 없으며, 제일 개명 부강한 나라일수록 철도가 많아 나라에서도 이것이 아니면 어찌할 수 없는 줄로 알며, 백성도 이것이 아니면 어찌할 수 없는 줄로 알며, 백성도 이것이 아니면 살 수 없는 줄로 알아, 철로 많이 놓을수록 국민의 이익이 발달하며 농공상업 등 각색 경영이 달라 번성하되, 비 아니 온다는 요사한 말은 하는 자도 없고 믿는 자도 없거늘, 어찌 대한에 홀로 놓은 해가 있어 비가 아니 오리요.
하늘이 만국의 산천을 철로 놓아 이(利)보게 하고, 유독 대한만 못놓게 창조하였을까. 이는 전혀 우준한 사람들이 풍수지설을 믿고 뫼 터와 집터를 보아 화복길흉을 가린다는 허망지설을 준신하는 데서 생김이니, 국민의 식견이 이렇게 된 후에야 무슨 학식을 의론하리요. 진실로 수치를 면할 수 없는 바라. 어서서서 고치기를 힘써야 하려니와 이것을 수치스러운 줄을 모르고, 겸하여 당연히 이런 줄로 믿는 바라 할지라도, 우선 국가의 당장 화근을 돌아보아 고쳐야 할지라.
당초 인도국이 망하던 시기를 보아도 귀신과 풍수 등 각색 요사한 의론을 준신하여 천문 지리의 참 이치와 국가 흥쇠의 정치 학식은 궁구치 아니하고 허탄한 말만 곧이들어, 각기 의견대로 요사한 말을 지어내어 각색 구기(嘔氣)와 폐습이 층층이 생기자 공연히 외국인을 미워하여 사분(私憤)을 포함하였다가 일시에 격동되어 볼일 듯 일어나므로 마침내 걷잡을 수 없어 필경 외국 군사가 들어와 전국을 충돌하고 비로소 정돈하였으나, 백성의 우준한 의단(疑端)을 파혹치 못한즉 종시 외국인 살해할 생각이 없어지지 않는지라.
부득이 그 집정한 어리석은 자들을 폐하고 자기 나라 개명한 사람으로 권세를 맡겨 백성의 학식을 늘리며, 군사를 갔다가 사방에 둔취하여 민심을 진압하므로, 인하여 그 나라가 없어졌나니, 이러므로 영국이 인도를 속국으로 만든 것이 실로 부득이하여 행함이라 하나니, 백성의 어두운 해가 이렇듯 심한지라.
백성도 어서 파혹하여야 하려니와 집정(執政)한 이들이 먼저 깨어 백성을 인도하여야 될지니, 이것을 파혹하기는 개명한 학문을 보는데 있는지라. 다만 옛글만 읽어가지고는 종시 어두움을 면치 못하리니, 일변 천문지지(天文地誌)와 격치(格致) 화학 등 학문을 보아 하늘은 어떻게 되었으며, 일월성신과 우로상설(雨露霜雪)이 어찌하여 되는 것이며, 강해(江海) 산천과 조석수(潮汐水) 미는 법이며, 사시한서(四時寒暑)와 주야회명(晦明)되는 이치를 알며, 정치 경제학을 보아 어찌하면 부국강병하며, 외교 내치하는 법을 대강이라도 알아야 비로소 향배가 생겨 동서를 분간할지라.
그 후에는 오늘날 믿는 것이 모두 우준패리(愚蠢悖理)한 줄을 스스로 깨달아 부끄러운 줄을 알고, 진실한 것을 구하며, 남이 이런 말을 할진데 그 허탄함을 믿지 않고 바른 이치를 궁구할지니, 지금 어두운 것이 자연히 열려 이해득실을 짐작하여 흥리제폐(興利除弊)할 사업이 날로 흥왕하리니, 공연히 외국인 미워하는 폐단도 덜리고 외국인과 평등권리를 만들어 이익을 남에게 잃지 아니하고, 남의 이익을 학식으로 이겨 빼앗을 도리가 생길지니, 지금 위태함을 편히 하는 방법이 이외에 어디 있으리오.
그런즉 유지하신 관민들은 속속히 번역관을 설시하고, 실학을 캐어 국문으로 번역하여 전국 남녀가 보기 쉽게 하며, 우선 한문 책자 보는 이들은 청국에서 번역하고 만든 책들을 광구(廣求)하여 보며, 우선 각 학교에 나누어 가르치게 할 것이며, 아는 대로 사람마다 서로 알려주어 철로 때문에 비 아니 온다는 이런 어리석은 말이 없어지며, 인하여 장래에 위태한 화근을 방비할지어다.
(다음 호는 1월 22일 제5권 제98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