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통상협상에서 대미 투자 펀드 설립을 논의 중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는 일본의 대미 투자 약속을 통한 관세 인하 합의와 유사한 전략이다.
일본은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 25%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조건으로 5천500억 달러(약 759조원) 투자를 약속했다.
한국도 수백억 달러 규모 투자를 요구받았으며,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4천억 달러(약 548조원)를 제안했다.
협상은 자동차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추며, 미국산 제품 추가 구매도 논의되고 있다.
협상은 아직 유동적이며, 백악관과 산업통상자원부는 논평을 거부했다.
블룸버그는 일본의 관세 15% 합의가 한국에 압박을 가한다고 평가했다.
윌리엄 추 허드슨 연구소 연구원은 “한국이 비슷한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글로벌 자동차 판매 경쟁에서 뒤처질 것”이라고 밝혔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도 “현대차는 일본 자동차 대비 25% 관세로 불리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