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미국 국세청(IRS)이 다국어 지원 서비스 폐지를 검토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영어 공식화 정책이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2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IRS가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다국어 세금 관련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중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1일 영어를 미국 공식 언어로 지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영어는 소통을 원활히 하고 국가 가치를 강화하며 응집력 있는 사회를 만든다”고 밝혔다.

미국은 연방 차원에서 공식 언어를 지정한 적이 없었으나, 이번 조치로 연방기관들은 다국어 서비스 축소와 영어 숙련도 프로그램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팸 본디 법무장관은 지난 14일 각 기관에 불필요한 다국어 서비스 폐지와 예산을 영어 교육으로 전환하라는 이행 지침을 전달했다.

IRS는 현재 납세자들이 선택한 언어로 세금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무료 통화·대면 통역, 다국어 웹사이트, 스페인어 소셜미디어 계정을 운영한다.

재무부 관계자는 WP에 “IRS는 행정명령 준수를 위해 다국어 서비스 폐지를 검토하며, 절감된 예산을 영어 숙련도 향상 연구나 프로그램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스페인어로 제공되던 세금 신고 가이드나 통역 서비스가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일부 전문가는 다국어 서비스 폐지가 언어 장벽을 높여 납세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WP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납세자들이 세금 신고를 기피하거나 오류를 범할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특히 스페인어 사용자 등 비영어권 커뮤니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IRS의 세수 확보와 행정 효율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번 논의는 한미 관계와 한국계 미국인 사회에도 시사점을 준다.

IRS의 다국어 서비스는 한국어를 포함해 비영어권 이민자들의 세금 준수를 지원해왔으며, 정책 변화는 이들의 행정 접근성을 낮출 수 있다.

트럼프의 영어 공식화 정책은 사회통합을 목표로 하지만, 언어적 포용성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미국 내 다문화 사회의 균형을 둘러싼 논쟁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