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백악관에서 나라별 상호관세율을 발표한 트럼프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오는 8월 1일 무역 협상 시한을 앞두고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중국, 한국 등 핵심 교역국들과 막판 담판에 나선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한 연장 없이 미국 이익을 극대화하는 조건을 압박하며, 한국과 EU와 중국은 불이익 최소화를 위해 대미 설득에 주력한다.

27일(현지시간) 트럼프는 스코틀랜드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만나 4개월간의 관세 협상을 담판 짓는다.

양측은 EU산 철강과 자동차와 의약품 관세율을 두고 치열한 협상을 벌였으며, 15% 상호관세를 논의하나 세부 사항에서 이견이 남아 있다.

트럼프는 4월 20%, 12일 30% 관세를 통보하며 압박을 높였다.

EU는 협상 불발 시 미국산 항공기와 자동차 부품과 버번 위스키에 보복관세를 준비했다.

미국은 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중국과 3번째 고위급 무역회담을 갖는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90일(8월 12일 만료) “초고율 관세 상호 인하” 합의 연장 가능성을 언급하며, 중국 시장 개방과 이란·러시아산 석유 구매 문제를 논의한다.

양국은 5월 제네바 회담에서 미국의 145%와 중국의 125% 관세를 115%포인트 낮췄다.

7월 31일 베선트 장관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조현 외교부 장관과 워싱턴DC에서 만난다.

8월 1일 시한 전날인 이날, 한미는 소고기 등 농축산물 시장 개방, 구글 정밀지도 반출, 온라인 플랫폼 규제 철회, 자동차 비관세 장벽 완화를 놓고 공방한다.

한국은 조선과 반도체와 배터리 협력 강화와 상호관세·품목관세 인하를 요구한다.

트럼프는 한국에 25% 관세를 통보했으며, 일본의 5천500억달러(약 760조원) 투자 패키지를 지렛대 삼아 자국 제조업 부흥 재원 동참을 압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