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톨라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사진=연합뉴스
모하마드 레자 아레프 이란 수석부통령이 적절한 조건이 충족된다면 미국과 직접 핵협상에 임할 수도 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약 두 달간 중단되었던 미국과 이란의 핵협상 재개 가능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협상의 핵심 쟁점인 우라늄 농축에 대해서는 양보하지 않겠다는 이란의 확고한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란 반관영 아이에스엔에이(ISNA, Iranian Students News Agency) 통신에 따르면, 아레프 수석부통령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는 상대방에게 신뢰를 쌓을 의향이 있다고 밝혔지만, 상대는 잠자코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란이 "균형 있는 조건 속에서 협상할 준비가 됐다"고 강조하며, 협상은 "양측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어야 하며, 지시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는 품위 있게 협상할 것이며, 농축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농축 제로' 계획은 아주 웃기는 이야기"라고 못 박았다.
미국과 이란은 지난 6월 15일 6차 핵협상 회담을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이틀 전인 13일 이스라엘이 이란 나탄즈 핵시설 등을 공습하면서 협상이 중단된 바 있다.
이란은 지난달 25일 튀르키예(Turkey) 이스탄불(Istanbul)에서 2015년에 체결된 핵합의(제이씨피오에이, JCPOA, 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에 서명했던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 3개국(E3)과 핵협상을 재개했으나, 이후 후속 회담 일정은 아직 구체적으로 잡히지 않고 있다.
한편, 전날 국제원자력기구(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소속 마시모 아파로 안전조치 사무차장이 이란 테헤란을 방문했던 것과 관련하여, 카젬 가리바바디 이란 외무차관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이란원자력청(AEOI, Atomic Energy Organization of Iran)의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고 이란 언론에 밝혔다.
가리바바디 차관은 "이란 대표단은 시온주의자 정권(이스라엘)과 미국의 침략에 대해 책임을 다하지 못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실패에 강력히 항의했다"고 덧붙이며 관련 협의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은 지난 6월 자국 핵시설이 이스라엘과 미국의 잇따른 공격을 당한 뒤, 사찰 등 국제원자력기구(IAEA) 업무에 대한 협력을 잠정 중단하는 법안을 의결했고, 이에 따라 지난달 4일 테헤란에 머무르던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이 출국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