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러트닉 상무장관
지난 3월 3일 미국 수도 워싱턴DC의 백악관에서 대만 반도체기업 TSMC의 미국 내 투자 계획에 관해 발표하는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반도체지원법(CHIPS Act)에 따라 지원금을 받아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는 반도체 제조기업들의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지난 19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익명 취재원 2명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검토 대상에는 대만 티에스엠시(TSMC,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미국 마이크론, 한국 삼성전자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포함된다.

이번 방안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주도하고 있으며,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논의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 통신 취재원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 방안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지분 확보 계획은 앞서 미 정부가 자국 기업인 인텔에 지원금을 지급하는 대가로 인텔 지분 10퍼센트(%)를 받으려 했던 계획을 확대한 것이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말기인 지난해 말 미 상무부가 확정한 기업별 반도체지원법 지원금 액수는 티에스엠시 66억 달러(약 9조2천억 원), 마이크론 62억 달러(약 8조6천억 원), 삼성전자 47억5천만 달러(약 6조6천억 원)였다.

하지만 러트닉 상무장관은 지난 6월 이러한 지원금 책정이 "지나치게 너그럽다"며 상무부가 재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마이크론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는 제안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가 민간 대기업의 지분을 직접 보유하는 방식은 매우 이례적이다.

러트닉 상무장관은 인텔의 경영에 직접 개입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일본제철의 유에스스틸(US Steel) 인수 승인 과정에서 중요 경영 사안에 대한 거부권을 갖는 '황금주'를 미국 정부가 보유하도록 한 바 있다.

로이터 통신은 보도 내용에 대해 티에스엠시는 논평을 거부했으며, 마이크론, 삼성전자, 백악관은 논평 요청에 답변하지 않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