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러 파병 희생자 유가족들 위로
북한 김정은이 지난 29일 평양 목란관에서 해외군사작전에서 특출한 공훈을 세운 참전열사들의 유가족들을 만나 따뜻이 위로하고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다음날인 30일 보도했다.사진=연합뉴스
북한 김정은은 지난 29일 평양 목란관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됐다 사망한 장병 유족들을 초청해 국가표창 수여식을 열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해외작전부대 참전군인들을 위한 제2차 국가표창 수여식이 진행됐다고 다음날인 30일 보도했다.
김정은은 유족들에게 인공기로 감싼 전사자 초상을 전달하고 기념촬영을 했다.
전사자들에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 금별메달, 국기훈장 제1급이 수여됐다.
김정은은 “유가족들을 만나며 참석하지 못한 이들을 생각했다”며 “슬픔과 상실감을 덜어주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는 전사자 자녀들을 혁명학원에서 국가가 책임지고 키우겠다고 약속했다.
북한 김정은, 러 파병 희생자 유가족들 위로
북한 김정은이 지난 29일 평양 목란관에서 해외군사작전에서 특출한 공훈을 세운 참전열사들의 유가족들을 만나 따뜻이 위로하고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다음날인 30일 보도했다.사진=연합뉴스
북한은 평양 대성구역에 유족을 위한 새별거리를 조성하고, 수목원 명당에 전사자 유해를 안치해 불멸의 전투위훈 기념비를 세운다.
노동신문은 유족들이 전사자 사진을 안고 오열하는 장면과 김정은이 눈시울을 붉히며 인사하는 모습을 보도했다.
행사에는 박정천(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노광철(국방상), 리영길(인민군 총참모), 조용원(당 비서), 김정은 동생 김여정이 참석했다.
북한 김정은, 러 파병 희생자 유가족들 위로
북한 김정은이 지난 29일 평양 목란관에서 해외군사작전에서 특출한 공훈을 세운 참전열사들의 유가족들을 만나 따뜻이 위로하고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다음날인 30일 보도했다.사진=연합뉴스
이번 행사는 대규모 사상자에 따른 군 사기 저하와 민심 이반을 막기 위한 의도로 분석된다.
국가정보원은 4월 국회 보고에서 북한군 전사자 600명을 포함해 사상자 4천700명을 추산했다.
타스통신은 30일(현지시간) 크렘린궁이 오는 9월 3일 중국 전승절 열병식 기간 중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의 양자 회담을 검토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