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 ICE 구금시설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당국의 이민단속으로 체포된 현대차-LG엔솔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들이 수감돼 있는 있는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사진=연합뉴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Immigration and Customs Enforcement)과 국토안보수사국(HSI, Homeland Security Investigations)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을 단속해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한 475명을 구금했다.

7일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 실무 당국은 이들 한국인 노동자들을 자진 출국 형태로 석방해 10일 전세기를 통해 귀국시키는 데 합의했다.

구금된 한국인들은 대부분 비자면제 프로그램인 전자여행허가제(ESTA, Electronic System for Travel Authorization) 또는 상용·관광 비자(B1, B2)를 통해 입국했으나, 이 비자들은 현장 노무를 금지해 위반으로 체포됐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 조지아주 공장 건설 현장 단속 영상 공개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사진=미국 이민세관단속국 홈페이지 영상 캡처/연합뉴스


ICE는 이들이 불법 체류 또는 비자 조건을 위반해 일했다고 밝혔다.

자진 출국, 강제 추방, 이민 재판 중 자진 출국이 가장 빠른 석방 경로로,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와 애틀랜타 총영사관으로 구성된 현장 대책반은 ICE와 협의해 이 방식을 추진했다.

애틀랜타 총영사관 관계자는 “구금된 우리 국민을 위해 전세기를 띄우는 협의가 완료됐으며, 자발적 출국으로 신속히 귀국시키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美 이민당국이 공개한 현대차-LG엔솔 이민단속 현장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과 사진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사진=ICE 홈페이지 영상 캡쳐/연합뉴스


한국 외교부는 백악관, 국무부, 국토안보부 등과 접촉하며 이번 사태가 한미 동맹과 경제 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 조기 석방을 설득했다.

그러나 자진 출국 시 불이익 여부는 논란이다.

재미 한국계 변호사는 국내 기간 뉴스 통신사인 연합뉴스에 “자진 출국은 혐의를 인정하는 절차로, 향후 미국 재입국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고 전했다.

현장 대책반은 8일 조지아주 포크스턴 교정시설에서 구금자들과 면담하며 자진 출국 절차와 불이익을 설명, 동의를 받고 있다.

일부 구금자는 아직 ICE의 외국인 번호(A넘버)를 받지 못해 추가 면담이 필요하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같은 날 미국 방문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만나 구금자 불이익 최소화와 한국 기업의 비자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 기업들은 미국의 대규모 투자 유치에도 불구하고 노동 가능 비자 부족과 숙련된 현지 노동자 고용 어려움을 지속 제기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