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스크에 배치돼 드론에 맞서 싸우는 북한군 병사들.사진=연합뉴스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 바딤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7일(현지시간) 우크린포름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병력과 노동자를 파견하며 방위산업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북한은 방위산업뿐 아니라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천 명의 전문가를 러시아로 보내 경험을 쌓게 한다”며 “전차, 병력수송장갑차, 보병전투차, 드론 등 무기와 탄약 생산 공장에 북한 노동자들이 파견돼 있다”고 밝혔다.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러시아 타타르 공화국 옐라부가 구역의 방산 기업이 외국인 채용을 급격히 늘리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 지역 드론 생산 기업이 직원 1천명에서 4만명으로 규모를 키웠으며, 상당수 외국인이 러시아 국방부 계약으로 전투 현장에 투입된다”고 주장했다.

쿠르스크 지역에 파견된 북한군 6천명 중 1천명이 이미 도착해 도로 복구와 방어선 진지 구축에 투입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쟁 직접 관여 가능성에 대해서는 “북한군은 러시아 영토 내에서 활동하며, 국경을 넘을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그는 “언론에서 북한을 언급하지 않아도 북한군은 존재하며, 쿠르스크에서 교대근무로 임무를 수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지난해 10월 약 1만1천명을 쿠르스크에 1차 파견한 데 이어, 올해 1~2월 3천명을 추가 파병했으며, 이달 초 6천명 규모의 3차 파병 계획과 1천명 전투 공병 도착을 확인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