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사 캡처


미국 보건복지부 로버트 케네디 장관이 코로나 백신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를 하며 던진 질문들은, 전 세계가 맹목적으로 추구했던 팬데믹 대응의 어두운 이면을 비추고 있다. 한때 인류 구원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백신이 이제는 개인의 자유와 건강권, 그리고 과학적 진실이라는 원칙 앞에서 거대한 물음표로 떠오르고 있다. 권력의 강력한 추진력 아래 놓쳤던 본질적인 의문들에 대해 우리는 이제 직시해야 한다.

지난 몇 년간, 국가는 국민 개개인의 신체적 자유와 선택권을 극도로 제한하며 백신 접종을 사실상 강요해왔다. 미접종자에 대한 사회적 제약과 차별은 기본권을 침해하는 수준에 이르렀고, 충분한 정보와 숙고의 시간 없이 백신을 수용해야 하는 압박은 개인의 건강권보다 집단적 편의를 우선시하는 비상식적인 행태를 낳았다. 이 과정에서 백신 부작용을 호소하는 이들의 목소리는 손쉽게 ‘음모론’으로 치부되거나 심지어 ‘반사회적’ 낙인이 찍히기도 했다. 그들의 고통은 숫자로만 존재하는 통계의 일부가 되었고, 때로는 국가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했다. 백신 접종이 최선이자 유일한 길이라는 확신만을 주입하며, 위험성에 대한 진지한 검토는 뒤로 미루어진 것이다.

특히 엠알엔에이(mRNA) 기술이 인체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과학적 검증은 여전히 불충분하다. 빠른 개발과 배포의 명분 아래 진행된 대규모 임상은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다양한 이상 반응들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접종과 질병 발병 사이의 인과성 입증은 개인의 몫으로 전가되었다. 심혈관 질환, 신경계 질환 등 백신과의 연관성이 의심되는 부작용 사례들은 끊임없이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투명하고 독립적인 조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져야 할 정부가 의혹에 대한 진상 규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국민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행위다.

이제 우리는 맹목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성적 질문을 던질 때다. 국가는 코로나 백신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상 반응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과 함께 합당한 피해보상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 개인의 자유와 건강권은 그 어떤 정치적, 사회적 압력에도 훼손될 수 없는 고귀한 가치다. 더 이상의 희생을 막고, 미래 세대에 부끄럽지 않은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진실을 향한 용기 있는 걸음을 멈추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