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군 특수부대의 훈련 모습.사진=미 국방부/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전후로 내부 스파이를 대대적으로 색출해 미국의 인적 정보(휴민트)망에 큰 타격을 입힌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정부 소식통은 뉴욕타임스(NYT, New York Times)가 지난 5일(현지시간) 보도한 미국의 해군특수부대(SEAL, Sea, Air, and Land Teams) 도청 작전 실패와 관련해 “당시 북한에서 훨씬 더 많은 스파이 색출이 있었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2019년 2월 하노이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정은의 통신을 도청하려 해군특수부대(SEAL)를 북한에 침투시켰으나, 민간인 어민 3명을 사망케 한 후 작전을 중단했다.
소식통은 이 사건의 진위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북한이 이를 인지하고도 지난 2019년 2월 하노이와 6월 판문점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이어갔다고 전했다.
북한은 스파이 색출로 미국의 정보 네트워크를 약화시켰지만, 외교적 접촉은 유지했다.
정부 당국자는 “미국의 군사작전이 북한의 불신을 자극했지만, 판문점 회담이 성사된 점에서 외교 기조는 이어졌다”고 밝혔다.
김정은 동생 김여정은 지난 7월 담화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 관계는 나쁘지 않다”고 언급했으며, 북한은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6년간 침묵을 지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처음 듣는다”며 관련성을 부인했다.
한편, 하노이 회담은 미국의 완전한 비핵화 요구와 북한의 제재 완화 요구가 충돌하며 결렬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