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대사 노재헌(왼쪽)·주러대사 이석배 내정.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는 주중 한국대사로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 노재헌(60) 재단법인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을 사실상 내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노 이사장을 주중대사로 낙점하고 실무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

노 이사장은 지난 8월 말 박병석 전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김태년·박정 의원과 함께 이재명 대통령 특사단으로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이 대통령 친서를 전달했다.

노 이사장 내정 배경에는 노태우 전 대통령의 1992년 한중 수교 주도 등 북방정책 성과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는 한중 수교 33주년을 앞둔 지난달 20일 경기 파주 노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며 “중국은 한국과 함께 수교 초심을 지키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노 이사장은 2016년 중국 청두시 국제자문단 고문 등을 맡아 한중 교류 활동을 펼쳐왔다.

여권 관계자는 “노 이사장의 중국 전문성이 한중 관계 개선에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노 이사장이 정통 외교관이 아닌 점과 노태우 전 대통령 일가 비자금 의혹 수사 상황을 고려할 때 예상 밖 인선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 측은 노 이사장 내정에 대해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이날 브리핑에서 “관련 보도에 주목했다”며 “사절은 국가 간 우호 협력의 중요한 교량으로, 한국의 정식 지명을 기다린다”고 답했다.

주중 한국대사는 올해 1월 정재호 전임 대사 이임 후 7개월 넘게 공석으로, 현재 정무공사 대리 체제다.

이재명 정부 첫 주러대사로는 러시아 전문가 이석배 전 주러대사가 내정됐다.

이 전 대사는 구주 2과장, 주상트페테르부르크 총영사, 주러시아 공사 등을 거쳐 2019~2022년 문재인 정부 주러대사를 지냈다.

러시아어 통역 경력과 객관적 시각으로 한러 관계 관리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러 관계가 어려운 상황에서 현안에 밝은 안정적 인사를 배치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중 관계는 올해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최고위급 교류를 재개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