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지법 나서는 권성동 의원
윤석열 정부와 통일교 간 '정교 유착'의 발단으로 지목된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1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와 통일교 간 ‘정교 유착’ 발단으로 지목된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의 구속 심사가 4시간 37분 만에 종료됐다.

16일 오후 2시부터 시작된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오후 6시 37분에 끝났다.

권 의원은 서울구치소로 이송됐으며, 이르면 16일 늦은 밤 또는 17일 새벽 심사 결과를 기다린다.

특검팀은 수사팀장 포함 검사 3명이 160여쪽 의견서와 130여쪽 프레젠테이션(PPT, PowerPoint) 자료로 증거인멸 우려를 강조했다.

특검은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의 부인 이모씨 휴대전화에 있던 1억원 한국은행 관봉권 사진, 윤 전 본부장의 다이어리 ‘큰 거 1장 support’·‘권성동 오찬’ 메모, “총장님, 오늘 드린 것은 후보님을 위해 요긴하게 써달라”는 문자 메시지를 제시했다.

권 의원이 수사 개시 후 휴대전화를 교체하고 차명폰으로 연락한 정황도 증거인멸 우려로 강조됐다.

영장심사 출석하는 권성동 의원
윤석열 정부와 통일교 간 '정교 유착'의 발단으로 지목된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1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권 의원은 최후진술에서 “특검이 객관적 물증 없이 공여자 일방 진술로 인신구속을 시도한다.

이는 방어권 보장에 심각한 우려”라며 “13시간 조사받고 대질 신문 요청했으나 특검이 잉크 마르기 전에 영장을 청구했다”고 부인했다. 출석길에도 “문재인 검찰이나 이재명 특검은 동일하다. 그때도 지금도 결백하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2022년 1월 윤 전 본부장으로부터 20대 대선 전 통일교 표·조직·재정 제공 대가로 1억원을 수수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받는다. 2~3월 한학자 총재로부터 현금 쇼핑백을 받고, 해외 원정도박 수사 정보를 통일교에 흘린 의혹도 있다.

특검팀은 “정치권력과 종교단체 결탁으로 국정 농단·선거 개입·사법 교란의 발단은 권 의원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라고 강조했다.

국회는 11일 체포동의안을 가결했으며, 특검은 28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