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표결 거부권 행사하는 미 대표.사진=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18일(현지시간) 김상진 유엔대표부 차석대사 주재 회의에서 가자지구 즉각적·영구적 휴전과 인질 석방, 구호품 전달 제한 해제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불발됐다.
15개 이사국 중 14개국이 찬성했으나, 상임이사국 미국의 부정표로 채택되지 못했다.
안보리 결의안 채택 요건은 15개국 중 9개국 이상 찬성과 5개 상임이사국(미국·중국·러시아·영국·프랑스)의 거부권 미행사다.
이번은 가자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의 6번째 거부권으로, 선출직 비상임 이사국 10개국(E10, Elected Ten)이 제안한 결의안은 하마스 규탄이나 이스라엘 자위권 인정 없이 휴전과 인질 석방, 구호품 제한 해제를 요구했다.
미국 대표 모건 오르테이거스 미 중동평화담당 특사 대리는 표결 전 “하마스를 규탄하거나 이스라엘의 자위권을 인정하지 않고 하마스에 이익이 되는 잘못된 서사를 정당화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스라엘 대표 대니 다논 주유엔 대사도 “인질 석방과 지역 안정을 가져다주지 않을 것”이라고 결의안을 비난했다.
표결은 이스라엘이 가자시티 북부 인구 밀집 지역에 지상전을 개시한 가운데 이뤄졌다.
유엔 조사위원회(COI, Commission of Inquiry)는 16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제노사이드(대량학살)를 자행했다고 규정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유엔총회 고위급 회의가 23일 개막하는 가운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비롯한 영국·호주·캐나다 등 서방국 정상들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겠다고 천명했다.
이는 가자 전쟁 장기화 속 국제사회 압력 강화로, 안보리 거부권 불발이 총회 논의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