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0월22일 수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사랑함이 만국 만민을 연합하는 힘(2))
사람마다 남 사랑하기를 자기 몸같이 할진대, 관원이 어찌 무단히 백성을 잔해(편집자 해석: 해치고 손상함, 즉 권력이 백성을 이유 없이 괴롭히거나 피해를 주는 행위)하며, 백성이 어찌 관원을 원망하리요. 상하가 다 사랑 애(愛)자 뜻을 국세(國勢, 편집자 해석: 국가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상태나 힘을 의미) 민정(民政, 편집자 해석: 국민의 삶과 관련된 정치적 운영이나 행정의 상태)이 다 이러함인즉, 사람이 각기 상고(편집자 해석:자세히 생각하고 살핌)할 바라.
한문에도 본래는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며, 어른이 아이를 사랑하는 데만 이 글자를 쓰는 것이 아니고, 신하가 임금을 사랑하며, 자식이 부모를 사랑하는 데도 애군(愛君, 편집자 해석: 임금을 사랑함) 애친(愛親, 편집자 해석: 부모를 사랑함)이라 쓰는 바이니, 마땅히 친근하게만 쓸 것이고 상하의 분별은 없거늘, 차차 학문의 본의는 잃어버리고 헛되어 층등(편집자 해석: 사회적 위계나 계층을 의미)을 마련하여 윗사람이 쓰는 것을 아래 사람이 쓰지 못하게 하기로 가진 악습이 생기며, 사랑 애자 쓰기까지 분별을 만들어 아래 사람은 사랑 애자를 쓰지 못한다 하나니, 당초 글자 뜻을 먼저 잃었거든 어찌 그 관계를 깨달으리오.
당초에 사랑하는 마음이 어진 데서 생긴 것이니, 어진 마음이 없는 자는 사랑할 줄을 모를 것이고, 사랑할 줄 모른 후에는 해(害)하고자 하는 생각이 나는 것은 인정에 자연한 이치라. 슬프다, 사람이 누가 어진 마음이 없으리오마는, 물건을 보면 욕심이 생겨 본심을 가리는 고로 혹 약간의 재물을 인연하여 사람을 상해하기도 하며, 천륜의 정을 끊기도 하나니, 물건이 사람을 해함이 이다지 심하거늘, 온 세상이 모두 물건에 끌리어 욕심으로 세상을 해치며 자기 몸들을 해롭게 하니 어찌 한심치 않으리오. 저 물욕에 끌려 골육 간에 서로 다투며 윤리를 상하는 자들로 하여금 잠시 그 불같은 욕심을 정지하고, 사람의 근본을 생각할진대 반드시 어진 마음도 날 것이오, 사랑하는 뜻도 있을 것이니, 어찌 감히 잔혹한 손을 내릴 수 있으리오.
오늘 세계상 인구를 통합할진대(편집자 해석: 합쳐서 계산해 본다면) 십오억만 명이라. 각기 오대주에 나누어 처하여 피차 그 지방을 넘지 못하고 따로 지방을 작정하여 그 안을 지키고, 풍속과 언어 문자와 의복 음식을 다 자의로 정하므로, 몇 백 년 몇 천 년을 지난 후에 본즉 대단히 서로 다른지라. 이 다른 의복을 보면 곧 저희들의 원수로 알아 피차 잔해(편집자 해석: 해치고 손상함)하려 하다가, 지나간 삼백여 년 이후로 만국이 문호(편집자 해석: 나라의 문을 열어 외국과 교류함)를 서로 통하고 의복 음식과 각색 풍속 교화(편집자 해석: 문명과 도덕으로 사람을 변화시키는 일)의 좋고 좋지 않은 것을 비교하여 좋은 것을 따르게 하자, 전에 제 의견만 가지고 고집하던 완습(頑習, 편집자 해석: 고집스럽고 낡은 습관)이 변하여 남과 합할 의견이 나며, 혼인을 상통(편집자 해석: 서로 통함)하여 오색 인종이 서로 섞여 살아 정의를 친근히 하고, 인하여 그 근본을 생각한즉, 모두 한 조상의 자손이고, 한 하나님의 자녀들이라.
마땅히 서로 사랑하기를 동포같이 하리라 하여 타국 인민을 위하여 교육을 권면하며, 타국인을 위하여 회당과 학교와 병원을 지어 목숨을 버려 가며 일도 하고, 심지어 적십자회를 모아 전쟁을 당하여 탄환이 비 오듯 하는 중에라도 들어가 적병이나 내 군사나 피아를 물론하고 상한 군사를 끌어다가 극력 치료하여 살려 제 나라로 돌려보내나니, 이런 모든 일이 어찌 사랑 애(愛) 자의 힘이 아니리오. 지금 세상에서는 이 사랑하여 이 힘으로 십오억만 인민이 함께 연합하여 복락세계를 만들어 볼지어다.
(다음 호는 9월29일 제243호)
※ 편집자 주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