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화재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오가고 있다.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사진=연합뉴스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발생했던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MS,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Service) 화재가 약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께 완전 진화되었다.

소방청은 화재가 재발화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안전 조치를 강화했으며,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는 관계기관 합동 감식을 통해 밝힐 예정이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상황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가 약 22시간만인 27일 오후 6시께 완전 진화(완진)됐다.사진=연합뉴스


이날 소방청은 지난 26일 오후 8시 20분께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를 약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께 완전 진화(완진)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은 해산되었고, 상황대책반으로 전환되었다.

소방당국은 전산실에서 발화된 리튬이온 배터리(Lithium-ion Battery)를 2~3일 정도 소화수조에 담가두어 만에 하나 있을 수 있는 재발화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 조치를 강화했다.

이번 화재로 작업자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는 인명 피해가 있었으며, 건물 일부와 전산 장비가 타는 등 재산 피해도 발생했다.

소방과 경찰 등 관계기관은 조만간 합동 감식을 통해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조사할 예정이다.

소방청은 소방 시스템 정상화를 위한 복구 작업도 벌이고 있다.

이번 화재로 일부 영향을 받은 다매체 신고 중 119 문자신고는 112와 공동대응 체계를 가동해 응급조치를 완료했다.

영상신고 및 웹신고 등도 차질 없이 복구하여 국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할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이번 화재로 인한 국민 불편이 신속히 해소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조해 복구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