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국정자원 화재 긴급 상황판단회의.사진=연합뉴스
행정안전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MS,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Service) 전산실 화재로 마비된 행정전산망 복구에 총력을 기울인다.
윤호중 장관은 27일 오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복구 계획을 논의했다.
중대본은 27일 항온항습기, 28일까지 네트워크 장비를 복구해 국민 생활·경제 관련 서비스부터 순차 정상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과 협력해 상황총괄반·업무연속성반·장애조치반을 운영하며 현장 대응에 집중한다. 화재 원인인 무정전·전원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배터리 384대 중 250여대를 반출하며 복구가 진척되고 있다.
국정자원서 불에 탄 배터리 옮기는 소방대원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사진=연합뉴스
화재로 전산실 항온항습장치가 멈추자, NIRMS는 서버 손상을 막기 위해 647개 시스템 전원을 차단했다.
이 중 대국민 서비스는 436개, 공무원 업무용 내부망은 211개다. 복구 성공 시 차단된 551개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재가동한다.
국민 안전·재산·경제활동 관련 시스템이 우선순위이며, 중요도 등급에 따라 복구된다.화재 피해 시스템은 당초 70개로 발표됐으나, 정밀 점검 결과 96개로 확인됐다.
윤 장관은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을 검토한다”며 “전소된 환경에서의 복구보다 이전이 유리하다”고 밝혔다.
이어 “민원 처리 지연, 증명서 발급 차질로 국민 불편을 초래해 사과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태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전산망 안정성 강화를 시급한 과제로 부각시켰다.
중대본은 복구 상황을 공식 누리집에 안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