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서 불에 탄 배터리 옮기는 소방대원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사진=연합뉴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NIRMS,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Service) 전산실 화재 원인이 무정전·전원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용 리튬이온 배터리 노후화와 관련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행정안전부는 27일 배터리가 지난 2014년 8월 납품돼 사용 연한 10년을 1년 초과했다고 확인했다.

화재는 전날(26일) 오후 8시 20분께 국정자원 전산실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이전 작업 중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후 6시께 완전 진화를 선언했다.

행안부와 국정자원 측은 작업자 13명이 서버와 함께 있던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던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불이 났다고 설명했다.

이전 작업은 총 4회 계획됐으나, 세 번째에서 사고가 났다.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의 셀을 기반으로 업체 2곳을 거쳐 납품됐다. 노후 배터리가 연한을 초과 사용되면 품질 이상으로 사고 위험이 커질 수 있다.

행안부와 국정자원은 연한 초과 사용 이유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이전 과정에서 작업 실수가 원인이라는 의견이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간 뉴스 통신사인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케이블을 분리해 쇼트가 발생한 것으로 안다. 휴먼 에러로 인한 화재”라고 전했다.

소방·경찰 당국은 정밀 감식으로 원인을 규명하고 피해 규모를 파악할 계획이다.

이번 화재는 정부 전산망 취약성을 드러내며, 국정자원의 안전 관리 강화가 요구된다.

행안부는 위기경보 ‘심각’ 단계로 유지하며 복구를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