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브리핑
박지영 내란특검보가 지난 8월19일 오후 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고등검찰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및 외환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두 차례 소환 요구에 불응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법적 절차에 따라 강제 수단을 검토 중이다.

박지영 특검보는 30일 브리핑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날 별도의 의견서나 불출석 사유서 없이 소환에 불응했다”고 전했다.

특검팀은 앞서 윤 전 대통령에게 ‘평양 무인기 투입’ 등 외환 의혹과 관련해 지난 24일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을 통보했으나 응하지 않자, 이날 오전 10시 재차 출석을 요구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은 이에 대해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아 조사가 진행되지 않았다.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을 제외한 모든 피의자나 참고인은 조사에 협조했으나, 책임을 지겠다고 공언한 윤 전 대통령만 불응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형사소송법 절차에 따라 향후 조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정당한 사유 없이 소환에 불응할 경우 강제적 수단을 동원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특검팀은 ‘국회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국민의힘 김태호 의원을 증인으로 소환하려 했으나, 김 의원이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하며 조사가 연기됐다.

박 특검보는 “증인신문 기일은 추후로 조정될 것”이라며 “수사 기한 내 최대한 조사에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검팀의 파견 검사 전원이 원소속 복귀를 요청했다는 논란에 대해, 박 특검보는 “내란 특검팀에서는 파견 검사들의 복귀 의사를 전달받은 바 없다”며 “구성원 모두 역사적 소명을 다해 업무에 임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특검팀은 수사 기한 내에 내란 및 외환 의혹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