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배터리 살피는 감식반
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 앞서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망 복구 작업이 나흘째 이어지면서 전체 복구율이 13.4%에 그쳤다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30일 밝혔다.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87개가 정상화됐으나, 국민 민원 처리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1등급 업무 시스템 36개 중 21개(58.3%)가 정상화됐다.

대전센터는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으며, 화재가 발생한 5층에는 7전산실(200개 시스템), 7-1전산실(96개 시스템), 8전산실(34개 시스템)이 위치해 전체 시스템의 51%인 330개가 집중된 상태였다. 이로 인해 피해 규모가 컸다.

무인민원 발급기 정상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국가 전산망이 마비된 가운데 지난 29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설치된 무인민원 발급기가 정상 작동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화재 영향이 적은 2층부터 4층 시스템은 재가동 중이며, 5층 7-1전산실을 제외한 나머지 시스템은 분진 제거 후 재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직접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이전과 민간 협력을 통해 복구를 추진 중”이라며 “일부 시스템은 다수 기관과 연계돼 복구가 지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민등록, 인감, 여권 등 국민이 자주 이용하는 민원 처리는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 대체 운영되며 큰 혼란은 없으나, 부동산 거래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일부 기능 장애로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돼 주민센터 방문과 수기 처리가 불가피하다.

김 차장은 “지자체 현장 점검 결과 다소 불편하지만 큰 혼란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행안부는 지자체 전담지원반을 구성해 소통 채널을 확보하고, 시스템 복구와 대체 수단 안내를 강화할 방침이다.

중대본은 이날 브리핑 자료로 장애 시스템 전체 목록, 정상화 여부, 대체 수단을 공개해 기관과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