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대표부, 한국의날 정책 세미나.사진=주OECD 한국 대표부/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주재 한국대표부가 30일(현지시간) OECD와 공동으로 ‘2025 한국의 날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2026년 한국의 OECD 가입 30주년을 앞두고 지난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 협력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세미나는 ‘불확실성 시대의 글로벌 포용성’을 대주제로, 지속가능한 식량 시스템, 포용적·지속가능한 삶의 질,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과 신기술 융합 등 3개 소주제를 중심으로 전문가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포용적 삶의 질 세션에서 로미나 보아리니 OECD 복지·포용성·지속가능·기회균등 센터장은 “한국은 삶의 질 지표에서 OECD 평균을 상회하지만, 성별 형평성 제고, 정신건강 및 사회적 연결성 강화, 자살 예방, 청년 고립 대응이 향후 과제”라고 밝혔다.

이는 한국의 사회적 포용성 강화를 위한 국제적 시사점을 제공했다.

OECD 한국 대표부, 한국의날 정책 세미나.사진=주OECD 한국 대표부/연합뉴스


제3세션에서 장윤정 주OECD대표부 공사는 “AI는 양자, 합성생물학 등 신기술과 융합해 변화를 이끄는 게임체인저”라며 “이러한 변화가 긍정적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정책 해법을 논의하는 중요한 기회”라고 강조했다.

마리 배스 굿맨 OECD 사무차장은 “한국은 OECD 가입 이후 경제 발전뿐 아니라 삶의 질, 포용성, 글로벌 기후 대응 등 국제 논의에서 지속적인 리더십을 보여왔다”며 “이번 세미나는 OECD의 핵심 주제를 관통한다”고 평가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공석인 대사를 대신해 환영사를 전한 최영배 차석대사는 “한국이 아시아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오늘날 성장하기까지 OECD의 정책 권장 사항과 모범 사례가 큰 역할을 했다”며 “OECD는 지정학적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증거 기반 정책 논의의 필수적 장”이라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과 OECD의 협력 역사를 조명하며, 불확실성 시대의 포용적 성장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