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PG).사진=연합뉴스


국회 입법조사처는 1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서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가 둔화되며 올해 6월 일평균 거래대금이 2천380억원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은행이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 고팍스)에서 거래된 달러화 스테이블코인(테더(USDT, Tether), 어스디코인(USDC, USD Coin), 스카이달러(USDS, Sky Dollar))을 집계한 결과로, 가상자산 시장 전체 둔화와 맞물려 증가세가 주춤한 것으로 분석된다.

박성훈 의원실 제공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은 지난해 7월 1천741억원에서 점차 확대됐다.

10월 3천41억원, 11월 6천381억원, 12월 1조229억원까지 상승한 데 이어 올해 1월 9천238억원, 2월 8천794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3월부터 5월 3천억원대로 하락한 후 6월에는 2천380억원으로 더욱 축소됐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 “가상자산 시장 둔화 영향으로 국내 스테이블코인 증가세가 최근 주춤했다”고 진단했다.

전체 가상자산 거래대금도 올해 6월 일평균 3조2천억원으로, 지난해 12월 17조1천억원 대비 크게 감소했다.

국내 가상자산 보유 금액은 6월 말 기준 89조2천억원으로, 1월 말 최고치 121조8천억원에서 줄어든 상태다. 이는 시장 변동성과 규제 강화 영향으로 풀이된다.

박성훈 의원실 제공


스테이블코인의 특성상 글로벌 블록체인에서 익명 거래가 이뤄지며, 탈중앙화 거래소나 P2P 거래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거래는 집계가 어렵다.

이에 학계에서는 국제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을 지역별로 추정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마르코 로이터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7월 보고서에서 에이아이(AI)와 머신러닝을 결합해 지리적 분포를 분석했다.

로이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북미 지역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4천450억달러(약 6천200조원)로 가장 많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4천260억달러(약 5천900조원), 유럽 지역 3천340억달러(약 4천600조원), 아프리카·중동 지역 2천억달러(약 2천800조원),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 1천560억달러(약 2천200조원) 순이었다.

이는 국내 거래 추이를 글로벌 맥락에서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된다.

이번 자료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변동성을 강조하며, 가상자산 규제와 안정성 논의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