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정하 의원은 10일 경찰청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국내 마라톤 대회 참가자가 100만8천122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회 사고가 72건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하며 안전관리 부실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국내에서 열린 마라톤 대회는 254회로, 참가자는 총 100만8천122명에 달했다.
대회 횟수는 2020년 19회에서 2021년 49회, 2022년 142회, 2023년 205회로 급증했다.
참가자도 2020년 9천30명에서 2021년 3만611명, 2022년 32만9천482명, 2023년 73만7천681명으로 매년 큰 폭으로 늘었다.
2020년부터 2025년 9월까지 4년 9개월간 열린 대회 중 1천명 이상 참가한 대규모 대회는 507회로 전체의 63퍼센트(%)를 차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마라톤 대회 사고는 총 179건 발생했으며, 특히 2023년에는 72건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대회 규모 확대와 안전관리 미흡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2025 춘천연합마라톤, 힘찬 출발
개천절인 지난 3일 강원 춘천시 남산면 엘리시안 강촌 리조트에서 열린 2025 춘천연합마라톤에서 참가자들이 힘차게 출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는 박정하 의원실에 제출한 답변에서 “1천명 이상 체육행사의 안전관리계획 수립은 의무화됐으나, 제출 의무가 없어 관련 자료를 보유하지 않고 있다”며 “안전조치 미이행 적발도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10·29 이태원 참사 이후 개정된 국민체육진흥법이 1천명 이상 체육행사 주최자에게 안전관리계획 수립을 의무화했지만, 제출 의무나 미이행 제재 규정이 없어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낳는다.
실제로 문체부는 대규모 마라톤 대회의 안전관리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정하 의원은 “마라톤 대회가 국민 생활체육으로 자리 잡으며 참가자가 급증하고 있다”며 “문체부는 사후 수습에 그치지 않고 사전 안전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체육진흥법의 실효성을 높여 체계적인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자료는 마라톤 대회의 인기와 함께 안전관리 체계 강화 필요성을 부각하며, 관련 법령과 정책 개선 논의로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