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평화공원 방명록에 글 쓰는 조국 비대위원장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오전 제주4·3평화공원을 찾아 참배하고 나서 방명록에 글을 쓰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최근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이 국민의힘을 향해 "제주4·3의 진실을 왜곡하고 모욕한다"며 맹비난을 퍼부었다. 그는 영화 '건국전쟁2' 관람을 두고 '희생자를 두 번 죽이는 행위'라 규정하며, 4·3을 모욕하는 세력을 "제로(Zero)로 만들겠다"는 극단적인 발언까지 서슴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선동적인 발언들은 제주 4·3 사건의 본질을 호도하고, 우리 자유대한민국 건국 과정에 대한 부정을 조장하려는 위험천만한 시도로 읽힐 수밖에 없다. 공산주의자들이 대한민국 건국을 방해하기 위해 일으킨 폭동이라는 4·3의 본질을 의도적으로 외면하고, 이를 오직 '민간인 학살'이라는 단편적 시각으로만 재단하며 정쟁의 도구로 삼는 무책임한 행태는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을 기점으로 남로당(남조선로동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가 발단이 된 좌익 세력의 체제 전복 시도였다. 유엔 감시 아래 민주 선거를 통해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는 것을 방해하려던 공산 세력의 폭동과 이에 대한 정당한 진압 과정에서, 안타깝게도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이 희생된 비극적 역사이다. 이념 대립이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하기 위한 정당한 국가 작용과 그 과정에서 발생한 과오를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일부 세력은 사건의 발단인 '공산 세력의 폭동'이라는 본질을 의도적으로 축소하거나 은폐하려 하고 있다. 조국 비대위원장이 '건국전쟁2'와 같은 영화 관람을 두고 '진실 왜곡' 프레임을 씌워 모든 논의를 원천 봉쇄하려는 것은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용납될 수 없는 행위이다. 다양한 역사적 관점과 해석은 비판적 토론을 통해 건강하게 발전해야지, 정치적 잣대로 획일화되거나 강요되어서는 안 된다. 더욱이 "4·3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와 명예훼손 행위를 처벌할 것"이라는 특별법 개정안 추진은 헌법상 보장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권력의 칼날로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억압하려는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이는 특정 이념만이 옳고 그 외의 주장은 불법이라는 전체주의적 사고방식과 다를 바 없다. 정치인의 역할은 역사적 진실을 수호하되, 그 과정에서 표현의 자유와 사상의 다양성을 억압하는 독단적 길을 선택해서는 안 된다.
국민의힘의 대응에도 신중함이 요구되나, 조국혁신당의 일방적인 공세는 과거의 비극을 정쟁의 도구로 악용하여 국민을 분열시키려는 의도로 읽힐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을 제로로 만들겠다'는 발언은 상대 정당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반민주적이고 반자유주의적인 사고의 표출이다. 자유민주주의의 본질은 서로 다른 가치와 의견을 가진 집단들이 공존하며 합리적으로 경쟁하고 타협하는 데 있다. 상대방을 '악'으로 규정하고 '청산'의 대상으로 몰아가는 행위는 오직 사회적 갈등과 분열만을 조장할 뿐, 어떠한 건설적인 결과도 가져올 수 없다. 역사를 정파적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행태는 결국 국민적 피로도만 가중시키고 국가적 역량을 소모시킬 뿐이다. 우리는 4·3의 아픔이 정치적 계산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
우리는 정치권에 강력히 촉구한다. 제주 4·3 사건의 본질을 명확히 인식하고, 그 위에 무고하게 희생된 민간인에 대한 진심 어린 애도와 치유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이 과정이 정치적 이해관계와 맞물려 자유대한민국 건국을 부정하고, 사회적 갈등을 부추기는 수단으로 전락해서는 결코 안 된다.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존중하고, 열린 토론을 통해 진실에 다가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치 지도자들은 4·3을 이용하여 국민을 갈라놓으려 할 것이 아니라, 과거의 아픔을 통해 미래를 향한 통합의 길을 제시해야 한다. 이념과 진영논리에 매몰되어 역사마저 자신들의 정치적 자산으로 삼으려는 세력은 자유 대한민국의 적임을 깨달아야 한다. 오직 사실에 입각한 합리적인 논의와 상호 존중을 통해서만 우리 사회는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진정한 통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