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11월15일 토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서양에서 동으로 뻗어오는 형세(2))
아메리카 중에 다시 사람이 가득하여 더 살 곳이 없게 되자 비로소 식민할 정책을 생각하여, 태평양을 향하여 오스트레일리아 주를 찾아내니, 이곳 토민의 살빛은 감람색(편집자 해석: 올리브색)이라. 이 야만 인종들이 몇 천 년을 버려두고 개척치 못한 땅을 백인들이 들어가 차례로 개척하여 점령하자, 수십 년이 지나지 못하여 당(편집자 해석: 집이나 건물 혹은 문명화된 시설)이 다 열리고 인민이 또 가득한지라.
다시 아프리카 주로 향하니, 아프리카 주 북방은 이집트(애급) 국이 있어, 개척 후 제일 먼저 개명한 나라요, 그 북은 지중해를 격하여 유럽 주에서 건너다니기 심히 가까워, 유럽 주 사람들이 여러 해를 그 땅을 분할하여 차지하였으나, 그곳에 평탄한 들이 많고 산봉 같은 언덕이 없어서 통상항구에 긴치 못한지라. 겸하여 중앙에는 큰 사막이 있어 여러 만 리를 통할 수 없고, 장기(瘴氣, 편집자 해석: 습하고 더운 지역에서 발생하는 독기나 병을 일으키는 기운)가 심하여 오래 살기 어려운 곳이라. 겨우 물과 산 좀 있는 곳만 들어가 웬만큼 개척하고 영구히 버려두었더니, 차차 죽기를 무릅쓰고 수고를 아끼지 아니하며 각국이 점점 개척하여 나누어 차지하며, 그 버려두었던 모래 밭 만 여리를 법국(法國, 편집자 해석: 프랑스)이 개척하여 세력을 펴 놓았은즉 또 어디 무슨 땅이 있으리오.
그러나 힘으로써 남을 항복받는 것은 그리스와 로마 국이 행하든 법이라. 전에는 이런 일을 포학(편집자 해석: 몹시 잔인하고 난폭함)에 가깝다 하여 어진 정사가 아니라 하더니, 근래에 이르러는 부강할 법을 말하는 자가 말하기를,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이기는 것이 자연한 이치라. 나라가 제 힘으로 강하게 만들고 앉았을진대 약한 나라를 치고 멸하여도 악한 것이 아니라 할지니, 이는 내가 저 약한 자를 치지 않아도 지금 세상에 그 약한 자가 남에게 부지하지 못할지라.
그러므로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치는 것이 당연한 일이라 하나, 문명국 사람의 의견은 이와 달라서 말하기를, 우리 사는 대륙에 땅이 없어서 살 곳이 부족하지만, 다른 지방에서는 저 버려두는 땅이 많아, 심지어 온 세계 삼분지 이가 다 어둡고 약하고 포학한 정부들의 손에 달려다 버려둔 것이라. 그 연고인즉(편집자 해석: 까닭은 이러하니), 세상 사람들이 다 어리석어 윗사람 된 자들에 압제와 헛된 말에 결박을 벗지 못하여 능히 하늘이 내신 존귀한 본 지위를 찾지 못함이니, 옳은 도가 있어 인심을 발달시켜야 되겠고, 사람의 지혜가 부족하여 능히 새 법을 생각지 못하는 고로 하늘이 내신 물건을 캐어 쓰지 못하며, 자의로 교통할 줄 모르는 고로 장사를 상통치 않고, 물건을 바꾸지 않고, 산과 바다를 통하지 못하며, 흉년에는 타국 곡식을 옮겨오지 못하고, 평생에는 나의 없는 물건을 남의 있는 것과 바꾸지 못하여 다만 땅을 차지한 주인이라는 헛이름만 있을 뿐이고 땅 생긴 본의는 깨닫지 못하는 고로, 이런 악한 정부의 권리 밑에 토지가 속함은 온 세상 사람들에게 일체로 해(害, 편집자 해석: 해로움, 피해)되는 것이라. 비컨대 사람의 전신에 혹이 달린 것 같아서 베어 버려도 해될 것이 없는지라.
이러므로 문명 부강한 나라가 잔약한 완고 정부를 없이하고, 세상을 균평히 열어서 만국 만민이 일체로 이익 되게 하는 것이 옳다 하는지라. 인하여 개명한 사람 이르는 곳에는 어두운 사람들을 몰아내며, 문명한 나라의 세력 미치는 곳에는 야만나라를 복멸하는 것이 종종 행하는 바라. (미완)
(다음 호는 10월25일 제262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