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강원도 중부전선에서 북한군 1명이 도보로 귀순할 당시, 추격조로 추정되는 무장 북한군 2명이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을 침범했다가 우리 군의 경고사격에 되돌아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하여 합동참모본부(이하 합참)는 초기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없다"고 발표했으나, 뒤늦게 무장 북한군의 군사분계선(MDL) 침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보 공개의 적절성 여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24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전 7시경 북한군 1명이 비무장 상태로 강원도 중부전선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와 우리 군에 귀순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같은 날 점심 무렵, 귀순 북한군을 잡기 위해 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무장 북한군 2명이 군사분계선(MDL)을 침범하여 남측 최전방 소초(GP, Guard Post) 앞 2백미터(m)까지 접근한 것으로 파악됐다.
우리 군은 해당 북한군들에게 경고 방송을 실시한 후 절차에 따라 경고사격을 가했으며, 이에 북한군 2명은 북측 지역으로 되돌아갔다.
그러나 합참은 지난 19일 북한군 귀순 사실을 전하면서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없다"고 발표하여 논란을 낳았다.
이에 대해 합참 측은 북한군 귀순 발생 시점과 무장 북한군 2명의 군사분계선(MDL) 침범 시점 사이에 5시간 이상의 시차가 있어 이들이 추격조인지 명확히 판단하기 어려웠으며, 자체 판단에 따라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군 일각에서는 무장 북한군이 남측 최전방 소초(GP) 2백미터(m) 앞까지 접근하여 우리 군이 경고사격까지 한 긴박한 상황을 알리지 않은 것은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서였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최전방 안보 상황에 대한 정보 투명성 요구가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