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위 전체회의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24년도 국정감사 결과보고서 채택의 건이 통과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 5일 국회 운영위원회의 국가인권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야는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에 대한 증인채택 문제를 놓고 격렬하게 충돌했다.
이날 국정감사는 국가인권위원회를 상대로 열렸으나, 운영위원회 소관인 대통령실의 김현지 실장 증인 출석 여부를 두고 국민의힘은 김 실장이 이재명 대통령 관련 사건에 항상 등장한다고 주장하며 출석을 강력히 요구했다.
양측의 팽팽한 대립 속에 회의는 고성과 항의가 오가며 한때 정회되는 파행을 겪기도 했다.
국민의힘 서지영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국정감사 첫날 단말기를 두 차례 바꿨으며, 이재명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사건으로 수원지검에 출석한 날에도 휴대전화를 교체한 사실을 지적했다.
서 의원은 김현지 실장이 과거 정치적 사건이 있을 때마다 휴대전화를 바꿨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김 실장이) 이재명 대통령의 범죄 역사에 항상 등장하기에 그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국정감사 출석을 요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겸하고 있는 김병기 운영위원장은 "국정감사 목적에 맞는 질문을 해 달라"며 서지영 의원의 발언을 제지했다.
그러나 국민의힘 의원들의 거센 항의가 이어지면서 회의 진행이 어려워지자, 김병기 위원장은 정회를 선포했고 약 30분 동안 국정감사가 중지됐다 재개됐다.
국정감사가 재개된 후에도 민주당 전진숙 의원은 서지영 의원의 발언에 대해 "김현지 실장은 국정감사에 오전 출석하겠다고 말했고 이를 거부한 것은 국민의힘"이라며 "'이재명 대통령 범죄 역사'라고 표현한 것은 모욕적인 언사이자 허위 사실"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전진숙 의원은 서지영 의원이 사과하지 않으면 더불어민주당은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 재판도 다 멈춰 있는데 김현지 실장에 대한 국정감사도 멈춰야 하느냐"고 반문하며, "대통령실 국정감사가 내일로 다가왔기에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고 김현지 실장의 증인 채택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주진우 의원은 이날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을 대신해 운영위원회에 보임됐다.
이에 민주당 백승아 의원은 "국민의힘은 스토커처럼 김현지 실장에게 집착하고 있다"고 맞섰다.
백승아 의원은 "김현지 실장이 노상원처럼 수첩에 적어서 비상계엄에 가담했나, 최순실처럼 국정농단을 했나. 비선 의혹 운운하는 것은 불순한 물타기"라고 일축하며 국민의힘의 주장을 반박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양평 공무원 사망 사건과 더불어민주당이 운영하는 '민주파출소'를 두고도 여야 간의 격론이 오갔다.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민주파출소'를 거론하며 "집권 여당이 국민을 상대로 신고를 유도하고 처벌하라고 수사기관을 압박한다"고 비판했다.
주 의원은 이는 "북한의 5호 담당제처럼 국민이 국민을 감시하는 것이고, '입틀막'하는 것"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이에 민주당 김준혁 의원은 "다른 당의 모습을 북한 정권과 비유하며 색깔론으로 가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고 지적했고, 같은 당 문진석 의원도 "국민의힘에서도 맞불 조직을 만든다고 한다"며 주진우 의원의 주장에 즉각적으로 반발했다.
국민의힘 곽규택 의원은 특검 수사 중 사망한 양평 공무원 사건의 중대성을 지적하며 "인권위에서 당연히 직권조사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곽 의원은 "신속하게 결론을 확인해서 위법 사항이 있으면 검찰에 고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곽규택 의원은 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위원장으로 있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를 겨냥하며 "최근 국회 특정 상임위원회에서 국회 사무처 소속 직원 3명이 업무 중 쓰러진 사안이 있었다"며 "동일한 상임위원회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했다는 것인데, 인권위에서 직권조사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