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송환되는 사기조직의 한국인 중간책.사진=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연합뉴스


서울경찰청과 금융감독원은 해외 유명 금융회사를 사칭해 229명으로부터 194억원을 편취한 캄보디아 거점 다국적 사기조직원 54명을 검찰에 송치하고 이 중 18명을 구속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조직은 사기와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 범죄단체 가입 및 활동 등의 혐의를 받고 있으며, 한국인 피의자 총 77명 중 해외 체류 17명에 대해서는 여권 무효화와 인터폴 적색수배를 발부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 조직은 지난해 2월부터 올해 7월까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해 투자자를 유인해 허위 주식매매 애플리케이션(앱)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했다.

투자 조언을 제공하거나 일부 수익을 화면에 보여 신뢰 관계를 쌓은 뒤 재투자를 유도하다가, 순간 앱을 삭제하고 연락을 끊는 방식으로 금원을 갈취했다.

경찰은 이 수법을 "단속을 피하고자 3개월 주기로 회사명을 변경하며, 돼지를 천천히 살찌운 뒤 도살하듯 신뢰를 이용해 피해자들이 더 투자하도록 유도하고 일거에 수익을 실현하는 '돼지도살 수법'"이라고 규정했다.

피해자들은 주로 40대와 50대에 집중됐으며, 아들 결혼자금 3억3천만원 전부를 잃거나 퇴직금 등을 날린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캄보디아 거점 사기조직 조직도.사진=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연합뉴스


조직은 중국인 총책이 이끌었으며, 캄보디아 국경지대 리조트를 전체 임대해 사무실과 숙소로 활용했다.

중국인, 태국인, 한국인 등 다국적 조직원이 통역, 가짜 앱 제작, 전화 상담, 자금 세탁, 통장 관리 등을 분업화했으며, 추적을 피하기 위해 가명과 외국인 명의 대포폰을 사용했다.

조직은 사기 실적에 비례한 인센티브를 통해 동기를 부여했으나, 경찰은 "실제로는 숙식 등 갖가지 이유를 붙여 돈을 가져갈 수 없었다"며 "한국인 조직원 상당수는 특별한 재산이 없어 추징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조직원 대부분은 '해외에서 여유롭게 근무하며 단기간에 고액을 벌 수 있다'는 광고에 현혹돼 캄보디아로 출국했으며, 28명은 지인 소개로 동참했다.

경찰은 이들이 불법성을 충분히 인지한 상태에서 범행에 가담한 것으로 보고 추가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번 수사는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5월 캄보디아를 거점으로 온라인 리딩방 사기를 준비한다는 첩보를 접수해 서울경찰청에 수사 의뢰하면서 시작됐다.

금감원은 제보자에게 '불법 금융 파파라치' 최우수 제보 포상금 1천만원을 지급했다.

경찰과 금감원은 유사 피해 방지를 위해 온라인 리딩방 사기의 특징으로 해외 유명 금융회사 사칭, SNS 유인, 장기간 정보 제공으로 신뢰 형성, 가짜 투자앱 설치, 대포통장 이체 유도, 출금 요청 시 잠적 등을 공개하며 주의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