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은 올해 영관장교 진급에서 육군사관학교 출신과 국방부·합동참모본부(합참) 등 정책부서 근무자가 압도적 선발률을 기록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9일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28일 중령 진급 인원은 553명으로 대상자 3천730명 가운데 14.8퍼센트(%)였다.
9월 26일 대령 진급 인원은 186명으로 대상자 2천810명 가운데 6.6퍼센트(%)였다.
출신별로 보면 육사 출신 중령 진급자는 대상자 308명 가운데 140명으로 45.5퍼센트(%). 대령은 684명 가운데 103명으로 15.1퍼센트(%)였다.
비육사 출신은 중령이 3천422명 가운데 413명으로 12.1퍼센트(%). 대령은 2천126명 가운데 83명으로 3.9퍼센트(%)에 그쳤다.
소속별 격차는 더 컸다.
국방부·합참·육군본부 등 정책부서 중령 진급자는 166명 가운데 96명으로 57.8퍼센트(%). 대령은 586명 가운데 83명으로 14.2퍼센트(%)였다.
반면 사단급 이하 부대와 교육기관은 중령이 2천913명 가운데 311명으로 10.7퍼센트(%). 대령은 1천654명 가운데 52명으로 3.1퍼센트(%)에 불과했다.
유용원 의원은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일선 부대에서 묵묵히 임무를 수행하는 장교들이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면서 “군 전체 사기와 직결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군 당국은 출신과 보직에 관계없이 실력으로 평가받는 공정하고 투명한 진급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