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지난 2022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공화국 정통성을 수호하는 언론의 사명을 다짐했다.

그 이전 9월 20일부터 비봉출판사의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1권을 논설 발표일자에 맞춰 연재하며 시스템 점검과 함께 시대정신 복원을 시작했다. 이는 신문의 창간 취지를 구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제1권 연재는 2023년 9월 19일 마치고 제2권은 2024년 1월 29일까지 이어졌으나, 재정난으로 1년 6개월간 휴간했다. 지난 7월 1일 재창간을 통해 연재를 재개하며 이승만 대통령의 언론 철학을 계승한다.

본 연재는 매주 월·목·토 진행되며, 서재필의 협성회 토론회 기록, 23세 이승만이 창간한 『매일신문』 기사, 한성 감옥에서 비밀 집필한 제국신문 논설 등 그의 언론·사상 유산을 조명한다.

1898년 4월 9일 창간된 『매일신문』은 공화국 건국 이념을 알린 최초의 일간신문이다. 반면, 현재 ‘신문의 날’은 1896년 4월 7일 서재필의 『독립신문』 창간일로 제정되어 있다. 당시 서재필은 미국인 신분으로 한국의 정서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했다.

이에 ‘신문의 날’을 4월 9일로 변경해 이승만의 민족 계몽과 공화정 수립의 언론 유산을 기리자고 제안한다. 특히 이승만은 훗날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 대통령으로 불리며 국가의 기틀을 세웠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진실을 좇는 보도로 공화국의 미래를 밝히며, 독자와 함께 새로운 언론 역사를 열어갈 것이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6년 12월26일 금요일 제국신문 원문 일부.사진=국립중앙도서관

(국가 흥망의 감회)

천여 년 이상으로는 동양이 극히 흥왕하여 세상에 교화와 문명이 다 동에서 서로 건너가더니, 거의 오륙백 년 이후로는 동양이 날로 쇠하여 학문을 닦지 못하고 지식이 열리지 못하므로, 서양 문명이 동으로 건너오는지라.

동양에 몇몇 큰 나라를 칠진대(편집자 해석: 칠진대국의 줄임말로 몇몇 큰 나라를 꼽아 말하건대) 인도, 아랍, 섬라(暹羅, 편집자 해석: 태국), 면전(緬塼, 편집자 해석: 미얀마), 유구(流寇, 편집자 해석: 류큐 왕국 곧 오키나와 지역을 가리키며 19세기 말 일본에 병합되기 전까지 독립된 왕국) 등 모든 나라가 차례로 없어지고, 부지하는 것은 파사(페르시아), 샤암국(편집자 해석: 시리아), 청국, 대한, 일본 등 국이라. 이 중에 파사국은 근근이 부지하나 흥왕 하는 나라라 할 수 없고, 샤암국은 그 임금이 대단히 개명하여 그 태자를 유럽주로 보내어 학교에서 교육시키며, 근자에는 각국으로 유람시켜 미국으로 갈 터이며, 그 왕께서 또한 유람하실 터이라 하는 고로, 각국이 매우 칭찬하여 차차 흥왕할 도리가 있겠다 하며, 청국과 대한은 점점 이 모양이고, 홀로 일본이 극한 동편 끝에 있어 일조에 일어나 날마다 해마다 흥왕하여 가는 나라이라. 이 여러 나라 중에 망한 것이 태반인데, 이 망한 나라인들인즉 다 서양에 속한 땅이 될지라.

이로 볼진대, 동양은 장차 다 서양의 차지한바 되고 말 듯하나, 샤암국이 여망(편집자 해석: 남은 희망)과 일본국의 흥왕을 볼진대, 동양이라고 다 망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잘만 하면 이 중에서라도 홀로 부강을 이룰 것이 분명하도다.

전에는 속국을 대접하는 법이 심히 잔혹 무리하여 곧 인류로 대접하지 아니한 폐단이 많았으므로, 영국이 미국을 속국으로 만들었을 때에 어떻게 심히 학대하였던지, 미국 토민들이 격분하여 죽기로 작정하고 일어나 영국을 쳐 물리치고 자주독립국이 된 후에, 세계 각국의 독립권 보호하는 귀한 주의가 퍼져 각기 독립하기를 위주하자, 이후부터는 영국에서 의견을 고쳐 속국을 후히 대접하여 은의(편집자 해석: 은혜와 의리)로 감복(편집자 해석: 감동하여 복종하다)하도록 만들어 자연히 귀화시기는 것이 옳다 하여, 이전의 학대하던 악습을 일절 금하고 어떻게 대접을 잘 하였던지 속국의 신민이 일체로 상국에 충심이 간절하여 은혜를 잊지 못하도록 만들었으므로, 자고로 속국 대접함이 영국의 근년 사적같이 한 적이 없다 하며, 미국이 필리핀 섬을 판할한 후에 인민의 자유권을 교육하며 남녀 교사를 주야로 파송하여 가르치고 보호함이 미국 사람보다 도리어 융승(편집자 해석: 매우 성대하고 번성하다, 풍성하고 융성하다)하게 하는지라.

영국이 인도 대접함이 또한 영국 본방 인민만 못지않게 하여, 주야로 교육을 어떻게 힘썼던지 인도 인민의 지식이 차차 열려, 남의 속국으로 자주 독립하지 못함을 통분히 여겨 점점 독립할 생각이 간절하나, 전 여왕 폐하의 성덕에 감복하여 무슨 변란이 일어나지 않음이라.

하물며 아라사가 인도 북망으로 인민을 은근히 선동하는 고로 영국이 항상 깊이 염려하여 살피는 바라. 이는 속국을 후히 대접한 풍속이다.

이어 아라사(편집자 해석: 러시아)가 파란국을 대접함은 이와 판이하여 압제와 학대는 다 고사하고, 파란국(편집자 해석: 폴란드) 백성은 저의 본토 말을 통치 못하고 다 아라사 말을 쓰게 하며, 서책과 사기(편집자 해석: 역사 기록)도 이전 저의 고국(편집자 해석: 본래의 나라, 조국) 것은 보지 못하게 하며, 혹 충심 있는 선비와 혈기 있는 남자는 일일이 잡아 시베리아로 실어 보내어 그 춥고 황무한 땅에 식민을 채우며, 그곳에서 묻혀 평생을 보내게 하며, 그 중에서도 형제 부자간이라도 함께 있지 못하게 하여 몇 천 리 몇 만 리 밖에 나누어 평생을 서로 보지 못하고 죽게 만들며, 옛적에 변화하고 문명하던 곳은 낱낱이 파멸하여 지나는 자가 눈으로 차마 볼 수 없더라 하며, 서양 사람들이 종종 그 나라를 유람하여 지나면 수삼백 년 전에 궁궐과 도성을 볼진대 슬픈 회포가 사람을 감동케 하더라 하는지라. 이는 속국을 사납게 대접하는 나라이니, 지금 세상에도 속국 대접하는 법일(편집자 해석: 법칙, 규칙, 제도) 이렇듯 층등(편집자 해석: 층차와 등급, 여러 가지 차별)이 있더라.

이상 몇 나라의 흥망고국(興亡故國, 편집자 해석: 흥하고 망한 옛 나라들)을 볼진대, 지금 세상에 나라 다스리는 자 불가불 조심치 아니치 못할지라. 저 망한 나라에도 당시에는 다만 윗사람들이 국권을 장중에 넣고 임의로 조롱하여 하루바삐 멸망을 재촉하며, 지혜로운 선비가 있어 국세가 위태하다 하면 곧 요망한 말이라 하여 우리나라는 영구히 망할 이치가 없다 하다가 필경 이렇게 당하므로 다시 어찌 할 수 없이 되나니, 만고(편집자 해석: 영원히, 아주 오래도록)에 망국한(편집자 해석: 나라를 잃은 통한과 슬픔) 한을 어디가 풀어보리오. 지금 아라사가 정치를 변하려고 힘쓰는 중이니, 변한 후에는 어떠할는지 모르거니와, 변하기 전에는 속국 대접함도 이렇듯 잔혹할지라.

나라가 한번 이 지경에 이른 후에 그 자손의 영원한 통분(편집자 해석: 아프고 분함)함을 설원(편집자 해석: 원통함을 씻음)할 곳도 없고, 충의(편집자 해석: 충성과 의리)의 말도 들어 보지 못할지라. 인도 인민(편집자 해석: 인도의 백성)이 다시 회복할 생각을 두는 것으로 보아도, 백성이 학문을 배운 후에야 흥왕(편집자 해석: 흥하고 왕성함)을 희망하리로다.

(다음 호는 11월22일 제297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포함된 한자어에 대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핵석을 병기하였다. 이는 한 독자가 한자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해 독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로 인해 기사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한 데 따른 조치다.

· 『우남 이승만 論設文集(논설문집)』 연재는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의 협조와 정의로운 자유대한민국수호 시민연대(정자연) 김형수 정책·홍보실장의 지원에 힘입어 진행되었다. 지면을 통해 다시 한번 두 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1970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1980년 비봉출판사를 설립하고, 1994년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 1996년 한국출판협동 이사장을 역임하며 출판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 대표의 열정은 독자들에게 23세 이승만의 민족 계몽 사상과 한성 감옥에서 집필한 논설의 시대적 가치를 생생히 전달했다. 이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독자 중 한 사람은 “이승만의 훌륭한 글들이 교과서에 단 한 줄도 실리지 않은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자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라고 비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은 대한민국 건국 이념의 뿌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더프리덤타임즈는 이 유산이 교과서에 실리며 후세에 전해지는 날을 기대한다.

사진=더프리덤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