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욱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최근 발언이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잘못된 판단”으로 규정하고, “대통령과의 단절만이 국민의힘이 살 길”이라는 취지의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헌법 제77조가 명확히 보장한 고유 권한이다.
이를 내란이나 국기문란으로 규정하려는 세력은, 사실상 친중·좌파 진영이 만들어낸 정치 프레임에 불과하다.
우파가 스스로 이 프레임 속으로 걸어 들어가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
최근 김계리 변호사의 “나는 계엄되었습니다”라는 한마디가 2030세대에게 폭발적인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 한마디를 계기로 젊은 세대는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유를 스스로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친중·종북 세력이 대한민국을 중국의 영향권으로 끌어들이려 했다는 정황에 주목하게 되었다.
결국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은 독단적 결정이 아니라, 국가 정체성과 안보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방어 조치였다는 사실을 많은 젊은이들이 깨닫게 되었다.
윤석열 계엄은 범죄 아냐.사진=연합뉴스TV 캡처
◆ 우파 리더십은 중도 타협이 아니라 친미·반중 노선
필자는 오래전부터 강력한 우파 리더십이란 중도적 타협이 아니라, 분명한 친미·반중 노선 위에서 국가의 미래를 지키는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그리고 그 리더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이 왜 정당했는지를 가장 명확하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특히 필자가 살고 있는 서초구를 지역구로 둔 신동욱 최고위원이 끝까지 ‘반(反)윤석열’ 입장을 고수한다면, 필자는 분명히 밝힌다.
필자는 반(反)신동욱 세력의 선두에 설 것이다.
국가의 안보와 정체성이 걸린 문제에서만큼은 단 한 발짝도 물러설 수 없기 때문이다.
※ 본 칼럼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본지의 편집 방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