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는 컴퓨터 시스템과 프로그램에 높은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을 말한다.
이 중 국가와 사회의 이익을 위해 활동하는 이들은 화이트 해커이며, 범죄와 파괴를 목적으로 삼는 이들은 블랙 해커라 부른다.
중국·러시아·북한과 같은 국가들은 이미 정부 차원의 해커 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북한은 해킹을 통해 매년 수조 원의 자금을 확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부정선거는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는 해커의 존재와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 위험한 태도이다.
◆ 선관위 서버 취약성 지적
과거 국가정보원 간부는 “대한민국 선거관리위원회의 서버는 해킹 위험이 매우 높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선관위 컴퓨터의 비밀번호가 12345 수준의 취약한 상태였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또는 북한 해커의 공격 가능성이 없을 것이라고 누가 장담할 수 있겠는가.
만일 내부 직원과 외부 해커가 결탁한다면 선거 결과 조작은 기술적으로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가령 내년 지방선거에서 한 천재 해커가 특정 정당 후보들의 당선을 일괄 변경해 버린다면, 이재명 정부는 그 결과를 인정하겠는가?
더 나아가 호남 지역에서 모든 당선자가 국민의힘 후보로 바뀐다면, “부정선거가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부정선거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서는 사전투표제 폐지, 당일 투표 그리고 현장 수개표가 반드시 시행되어야 한다.
선거의 공정성을 지키는 일은 0.0001퍼센트(%)의 가능성이라도 차단하려는 태도에서 시작된다.
그것이 선거관리위원회의 책무이자 국가의 책임이다.
미국의 트럼프 정부 역시 대한민국의 선거 시스템과 부정선거 가능성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해 왔다.
부정선거로 당선된 자는 정당성을 가질 수 없으며, 부정선거를 기획하거나 실행한 자는 사형 또는 무기징역에 해당하는 가장 엄중한 처벌을 받아야 할 것이다.
부디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선의의 화이트 해커들이 국민 앞에 숨겨진 위험을 밝혀내고, 공정한 선거를 수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
※ 본 칼럼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본지의 편집 방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