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프리덤타임즈"는 2022년 10월 1일에 창간했다. 인터넷 뉴스 창간 전에 시스템 작업을 완료하고, 비봉출판사에서 출간한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3권 중 제1권을 지난해 9월 20일부터 올해 9월 19일까지 당시 보도 날짜를 따라 그대로 전재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약 125년 전의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독자들은 매일 혹은 며칠에 한 번씩 연재된 논설문집을 보면서 1권을 읽었다. 이제 창간 1주년을 맞아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에는 서재필이 조직한 학생청년회 ‘협성회’ 토론회를 이끈 이승만이 ‘협성회보’ 제작 편집을 맡았던 신문에서 수록한 것과 23세의 이승만이 '매일신문’을 창간 후 수록한 것 그리고 한성 감옥 복역 중(1899년~1904년)에 비밀리 집필하여 감옥 밖으로 보내 제국신문에 게재했던 수백 편의 논설 중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는 공화국이다. 공화국으로서 건국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은 현재의 시대 사람들에게는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잘못된 인식과 나쁜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
하지만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당시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미 그는 유일 후보로 최소 득표수를 너끈히 넘긴 당선자였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 관리를 잘못하면 윗사람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지만, 이 나라 건국의 아버지 이승만 대통령에게는 그 잣대가 너무도 가혹해 그의 훌륭한 업적은 논하는 것조차도 불편하게 되었다.
그러나, 만고의 진리 중 진실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론계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절대 변하지 않은 진실과 바로 잡아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한 것들 중에서 다음의 내용은 제일 우선시 되어야 만이 이 땅에 살아 숨 쉬고 있는 모든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98년 4월 9일은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이 창간한 날이다. 이 신문을 창간한 사람이 바로 이승만이다. 그는 무지한 국민을 하루빨리 계몽해서 '똑똑한 국민’으로 만들고 싶어서 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하지만,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1896년 4월 7일 창간해서 오늘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서재필의 피는 한국인지 모르지만, 그는 미국인이다. 서대문형무소에 전시된 서재필에 관한 내용을 보면, 그는 이 땅에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당시 그는 철저히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된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인 '이승만’이 최초로 신문을 만들었다. 훗날 그는 대한민국의 건국 대통령이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인 만든 신문 날짜에 맞춰 '신문의 날’로 정하자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의 정통성과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새롭게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
대한제국 광무 6년(1902년) 2월21일 제국신문 제5권 제36호에 실린 논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본사 사적 연속)
오늘날 세계 학문가에서들 알 수 없는 이치라 하는 것은 대게 착한 사람에게 재앙이 많고, 옳은 자에게 반대가 많고, 충신열사에게 항상 화패(禍敗)가 많은 법이라, 이것을 이치로 말하면, 착한 사람은 항상 안락한 복을 누리고, 옳은 자는 항상 보호가 많으며, 충신열사는 항상 영화 부귀를 누려야 천지에 합당할 듯하거늘, 도리어 상반되는 것이 이상하나, 사실을 생각하면 착한 자 재앙을 당하며, 착한 일을 행하여야 참 착한 사람이라.
만일 옳은 일에 반대가 없으면 어찌 옳은 일이 드러나며, 충신이 영귀(榮貴)만 할 것 같으면 난신적자(亂臣賊子) 될 자 어디 있으며, 난신적자가 없으면 충신열사가 귀할 것이 무엇이뇨. 그런즉 그 사람은 항상 환란을 받으며, 반대를 무릅쓰고 평생 뜻을 굳게 하여 목숨이 다하기까지 여일히 나가 가지고야 능히 착함과 옳음과 충성함을 영원히 드러내나니, 이런 연후에야 천리(天理)가 있다 하겠도다.
그런즉 참 착하고 옳고 충렬한 사람은 환란 위험을 자기 평생에 분수 안의 일로 알고 괴롭게 여기지 않고 즐거이 받는 법이니, 본사에서 비록 충의(忠義)로 자부하는 것은 아니나, 자초로 천신만고를 무릅쓰고 오늘까지 일하여 오는 것은 조금도 사사(私事) 이해를 위함이 아닌 줄 세상에서 아는 바라, 연내로 동취서대(東取西貸)하여 간신히 자본을 구집(求集) 해다가 달마다 질러가는 일에 이(利)를 바라고 이 형편에 앉아 이 장사할 사람이 어디 있으며, 명예를 구한다고는 더구나 설명할 것 없는 것이, 본사 신문에는 당초에 기재원이라, 발간인이라, 사장이라 성명을 내지 않나니, 누가 우리더러 조명(釣名)한다 하리오. 다만 간절히 바라고 원하는 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나씩이라도 날로 열려 철야에 등불이 되며, 무너지는 집에 기둥이 되어, 우리 대한의 독립 권리를 보존하는 직책에 만분지일이라도 찬조가 될까 함이니, 그 뜻이 어찌 옳지 않다고야 하리요.
이 주의를 가지고 밤낮 열심히 하는 것은 본 신문이 확장되어 완전한 기초를 세우기 원하는 바이러니, 그동안 불행히 사원이 혹 화패(禍敗)에 빠진 자도 있고, 혹 동서이산(東西離散)도 하며, 혹 일시 탐보에 실수함으로 수년 징역(懲役)을 당하고 나온 자도 있고, 심지어 활판기계와 희사집(喜捨輯)이 전혀 회록(回祿: 화재)을 당하여 수삼 년 적공(積功)을 일조에 동풍에 날려 보내니, 인명이 상치 않은 것은 불행 중 다행이나, 사업은 다시 이을 힘이 없으니, 어찌 우리 인민의 대불행이 아니리요. 그 외에 재정이 누차 끊겨 어찌할 수 없는 경우를 많이 지내었으나 다 사소한 연고요.
이상 몇 가지는 더욱이 속수무책(束手無策)한 낭패라. 이때 형편으로야 다시 회복될 줄 누가 믿었으리오. 만일 이 신문이 폐지되었던들 우리가 열심히 했던 성력(誠力)은 어디 있으며, 신문을 사랑하여 보시는 이들의 애석히 여기는 마음은 어찌 위로하며, 우리 백성의 수치는 또한 어찌 면하리오. 이것을 생각하고 동서분주하며, 어찌어찌 주선하여 다행히 오늘까지 부지하여 오므로 적이 취서(就緖)가 되어가는 지라. 만일 우리의 성력(誠力)이 아니면 또한 용이치 못할 일이라. 우리가 이것으로 세상에 요공(要功)하자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성력이 이에 미쳤으니 이 사실을 들어 같이 신민 된 자 같이 힘쓰기를 바람이로다.
이상 연일 논설에 기재한 바 그 위험함과 그 간곤(艱困)한 처지를 다 무릅쓰고 오늘까지 일하여 그 효험은 무엇이뇨. 근래 사람들이 항상 말하는 것이, 신문에서는 아무리 하나 정부에서 시행치 아니 하니 아무리 하여도 쓸데없다 하는지라. 본사에서도 모름은 아니나, 정부에서 당장 캐어 쓰지는 않더라도 차차 습견(習見)이 되면 필경 한두 가지씩 행하여 갈 날이 있나니, 연전에 없던 중학교며 의학교 등 몇 가지 일을 연전에는 정부에서 꿈도 아니 꾸던 것을 지금 실시가 되었은즉, 이런 일이 다 차차 한두 가지씩 되어가는 표적이고, 또한 정부에서 준행 여부는 우리가 관계할 바 아니라, 다만 우리 백성끼리 서로 가르치며 서로 준행하여 하루 이틀 한해 두 해에 민정과 풍속이 차차 화하여 가는 것이 바라는 것인즉, 신문 보는 이들이 일변 배우기도 하며 일변 행하기도 하는 것이 참 효험이거늘, 보는 자 그 주의는 모르고 도리어 효험 없는 것을 논란하니, 이는 우리가 애석히 여기는 바라.
부지중(不知中) 지금은 한문에 무식하다는 사람이나 혹 부인네나 거의 청국 형편이 어떠며 영, 미, 법, 덕, 아 여라 나라가 어떠하고 어떠하다는 말을 대략 의론하니, 만일 본 신문이 아니면 그 말인들 어디서 들어 보았겠느뇨. 이것을 모르는 것을 좋은 줄로 아는 사람은 눈멀고 귀먹는 것을 즐겨하는 자라. 이런 자들이야 당초에 신문을 볼 리도 없거니와, 적어도 심장이 있는 자야 이 세상이 어떤지 모르고 사는 것은 아주 아니 난 것보다 못하게 여길지라.
이러한 사람이야 어찌 우리 신문의 효력이 바이없다고 하리오. 진실로 그 효험을 알진대 그 환란(患亂)을 불고(不顧)하며, 신고(申告)를 불석(不惜)하고, 일하는 사람의 성력을 응당 가상케 여길지라. 진실로 가상히 여길진대 불가불 찬조가 있어야 할 터이니, 찬조는 어찌할꼬. 아래 논설에 보시오.
(다음 호는 12월 25일 제5권 제37호)
<편집자 주>
비봉출판사 박기봉 대표는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의 편집자다. 1970년에 서울상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1980년에 비봉출판사를 설립했다. 그는 1994년에 대한출판문화협회 상무이사를 역임했고, 1966년에 한국출판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및 역서로는 맹자, 충무공 이순신(4권),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신채호), 삼국연의(8권), 독립정신(이승만), 우남 이승만 한시집(일명 체역집) 등이 있다.
박기봉 대표의 열정적인 협조 덕분에 독자들은 당시 시대상과 함께 젊은 이승만의 사고와 사상을 엿볼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연재 중에 어떤 독자는 "이렇게 훌륭한 글들이 우리가 배운 교과서에 단 한 점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은 국어학자들의 기만이고 역사학자들의 배임이다"라고 말했다.
이승만의 '독립정신’과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이 대한민국 교과서에 실리는 그날을 기다리며, “우남 이승만 논설문집” 제2권을 연재한다.
이번 연재는 지난 1권처럼 당시 보도된 날짜가 아닌 월, 수, 금요일 순으로 하여 1주일에 3번 전재한다.
(사진=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