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6월 판문점에서 만난 트럼프와 김정은.사진=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동생 김여정(노동당 부부장)은 29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측의 ‘희망’으로만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백악관 당국자의 비핵화 대화 의지 발언을 언급하며 “2025년은 2018년이나 2019년이 아니라는 데 대해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과 미국은 2018년 6월 싱가포르와 2019년 2월 하노이와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정상회담과 회동을 했다.

김여정은 “북한 김정은과 현 미국 대통령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고 인정했으나 “조미 수뇌들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비핵화 목적과 한선상에 놓인다면 상대방에 대한 우롱”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핵보유국 지위와 지정학적 환경이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며 “강세한 핵억제력과 최고법으로 고착된 핵보유국 지위를 부정하려는 시도는 철저히 배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북미 당국자 주요 발언

미국 백악관은 28일(현지시간) 북한 김정은 동생 김여정이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북미 간 협상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북한 비핵화를 위해 김정은과 대화하고 싶어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사진=연합뉴스

김여정은 “핵을 보유한 두 국가가 대결적인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며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출로를 모색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비핵화 협상은 없지만 핵군축 등 다른 대화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담화는 25일(현지시간) 백악관 당국자가 국내 뉴스 기간 통신사인 연합뉴스 질의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과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대화에 열려 있다”고 답한 데 대한 반응이다.

김여정의 이례적 대응은 북한이 메시지 발신 기회를 노렸다는 관측을 낳았다. 담화는 조선중앙통신에만 실리고 노동신문에는 게재되지 않았다.

백악관 당국자는 담화 공개 후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종식을 위해 김정은과 소통하는 데 열려 있다”고 재확인했다.

한국 대통령실은 “한미는 북미 대화를 포함한 대북정책 전반에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안정을 위해 북미회담 재개를 지지한다”며 “평화 분위기 속 남북 신뢰 회복과 회담 촉진 여건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