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장관.사진=연합뉴스

오는 6일로 예정됐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순직해병특별검사팀 출석이 잠정 연기됐다.

김 전 장관 측이 촉박한 일정 통보를 이유로 특검팀의 출석 요구에 불응하면서다.

특검팀은 김 전 장관 변호인단의 요청을 받아들여 향후 출석 일정을 조율할 예정이며, 조사 장소도 서울동부지방검찰청이 아닌 김 전 장관이 수용된 서울동부구치소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김 전 장관의 변호인단은 5일 "해병특별검사팀으로부터 오는 6일 오전 10시 출석하라고 오늘 통보받았다"며 "(출석) 하루 전에 통보받은 일정으로 변호인 조력권을 행사할 수는 없는 사정이 있어 내일 출석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변호인단은 "수감돼 있는 자에 대한 통상의 수사 방법대로 구치소에서 수사 접견할 것과 변호인과의 일정 조율을 선행할 것을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김용현 전 장관은 지난 2023년 7월 3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주재한 이른바 '브이아이피(VIP, Very Important Person) 격노' 회의에 참석했던 7명 중 1명이다.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특검팀은 김 전 장관을 참고인으로 불러 당시 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보고된 내용과 지시 사항, 이후 사건 회수와 같은 후속 조치 등을 전반적으로 조사할 예정이었다.

특검팀은 일단 김 전 장관 측의 요청을 수용해 출석 일정을 조율하기로 했다.

특검팀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김 전 장관 변호인과 일정을 협의해 서울동부구치소에서 참고인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조사 일정이 정해지면 말씀드리겠다"고 전했다.

김 전 장관은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내란 중요 임무 종사,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지난해 12월 8일 긴급 체포돼 구속됐고, 같은 달 27일 재판에 넘겨졌다.

이후 1심 구속 기간(6개월) 만기가 임박한 지난 6월 25일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에 위계(僞計)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증거인멸교사 혐의로 추가 기소되면서 법원의 추가 구속영장 발부에 따라 구속 기한이 연장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