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7일 스코틀랜드에서 정상회담 한 폰데어라이엔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집행위원장이 미국과 EU의 무역 합의를 적극 옹호하며, 불균형 논란을 반박했다고 독일 디피에이(DPA, Deutsche Presse-Agentur)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합의는 관세 상한선을 명확히 해 유럽 경제에 안정성을 제공한다는 평가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25일자 독일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과 24일 프랑스 르피가로에 실린 기고문에서 “이 합의는 긴장 고조와 대치 대신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택한 의식 있는 결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민주주의 세계의 양대 경제권이 무역 전쟁을 시작했다면 모스크바와 베이징만 기뻐했을 것”이라며 합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EU는 미국 상품에 대부분 무관세를 적용하지만, 합의는 EU 제품에 15퍼센트(%) 관세 상한선을 설정해 자동차와 의약품 등 주요 산업을 보호한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완벽하지 않지만 견고한 합의”라며 “보복 관세는 비용이 큰 무역 전쟁을 초래하고 노동자, 소비자,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항공기 부품, 복제 의약품 등 전략적 제품의 관세 면제를 확보한 점을 경쟁력 강화 요소로 꼽았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글로벌 무역 다각화를 통해 유럽의 수출과 고용을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멕시코, 남미공동시장(MERCOSUR, Southern Common Market)과 무역 합의를 마무리하고, 스위스, 영국, 인도네시아와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며 “인도와도 연내 합의를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

또한, EU 회원국 간 무역량이 미국과의 무역량의 절반 미만이라며, 행정 절차 간소화와 서비스 발전을 통해 유럽 단일 시장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합의는 EU의 경제 안정과 글로벌 무역 관계 강화를 위한 초석으로 평가되며, 장기적 번영을 위한 EU의 전략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