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하는 김병주 특검 특위 위원장
김병주 민주당 3대특검 종합대응특위 위원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특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민의힘 소속 단체장이 이끄는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계엄에 동조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공세를 이어갔다. 이에 지목된 서울시는 즉각 "청사를 폐쇄한 적 없다"고 밝히며 민주당의 주장을 '가짜뉴스'로 강력히 비판했다.

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특위' 소속 김병주 의원은 25일 전체회의에서 "오세훈 서울시, 김진태 강원도, 유정복 인천시, 홍준표 대구시, 이철우 경상북도 등 많은 지자체가 계엄 선포 당일 청사를 폐쇄하고 비상대책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행정안전부를 통해 전국 지자체에 청사 폐쇄를 명령했다며, "오비이락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일사불란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들 지자체장이 계엄에 동조한 것은 아닌지 수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힘 소속 중진급 지자체장들을 압박하려는 민주당의 의도가 담겨 있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실제 오세훈 서울시장은 당시 계엄 철회를 주장했고,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유감을 표명하며 계엄과 거리를 두는 태도를 보인 바 있다.

김병주 의원의 발언에 대해 서울시는 김병민 정무부시장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강력히 반박했다.

서울시는 "청사를 폐쇄한 적이 없으며, 평소에도 심야에는 내규에 따라 출입이 제한되고 출입증을 패용한 경우에만 출입이 허용된다"고 해명했다.

김 부시장은 "김병주 의원 등 민주당이 정확한 사실 확인도 없이 가짜뉴스를 유포하고 있다"며, 특검 수사를 이용하여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는 "얄팍한 노림수"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또한 비상계엄 당시 '경계 태세 2급'이 발령된 점을 문제 삼으며, "북한군 남침 시에나 발령되는 경계 태세 2급이 계엄과 동시에 발령된 것은 역모의 징후이자 군사 반역자들이 내란 수반과 한 무리로 내란을 수행하려 한 혐의"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3대특검 종합대응특위
전현희 민주당 3대특검 종합대응특위 총괄위원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특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수사 기간 연장과 수사 인력 확대를 포함하는 '3대 특검법 개정안' 처리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순직해병 태스크포스(TF) 간사를 맡은 전용기 의원은 "수사가 진행될수록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역자들의 부정한 행태가 드러나고 있다"며 순직해병 특검법 연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연희 의원은 "내란 특검 수사에 허점과 사각지대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하며, 계엄 당시 국무회의에 참여했던 한덕수 전 총리를 비롯해 최상목, 조태열, 박성재 등 국무위원에 대한 보완 수사를 강조했다.

또한 정진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김주현 전 민정수석 등이 계엄 과정에 등장하는데도 수사가 진척되지 않고 있음을 언급하며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