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25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라며 현 상황을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고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은 한국 내에서 진행 중인 '내란 특검' 수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 및 재판 등 국내 정치 상황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글에서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고 덧붙이며 현 상황에 대한 미국 측의 불수용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오늘 백악관에서 새 대통령(이재명 대통령)을 만난다"며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줘 감사한다"고 언급, 한미 정상회담의 의제에 해당 문제가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 글이 알려지자 워싱턴DC 프레스센터에서 진행 중이던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에서 "정확한 상황을 확인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강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 글을 대통령실도 인지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국내에서도 가짜뉴스(fake news)가 많이 나오고 있는 만큼, 공식 계정인지 확인해봐야 할 사안으로 보인다"고 답하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직전 이 같은 강도 높은 발언을 한 배경에는 '마가(MAGA, Make America Great Again)'로 불리는 트럼프 핵심 지지층 내 일부 강성 인사들의 인식이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 나온다.
과거 '우파 선동가'로 알려진 로라 루머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 직후 "공산주의자들이 한국을 접수해 오늘 대선에서 승리했다. 이는 끔찍한 일"이라는 근거 없는 주장을 펼친 바 있다.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도 한국의 내란 특검 수사나 전직 대통령 관련 사안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할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과의 첫 만남을 앞두고 회담에서 최대한의 양보를 얻어내기 위한 압박 전술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