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의 첫 검찰 중간간부 인사 후, 이재명 대통령 및 민주당 관련 의혹을 수사한 검사들과 김건희 여사 관련 ‘봐주기 수사’ 논란 검사들이 대거 사직 의사를 밝혔다고 법조계가 25일 밝혔다.

민주당의 검찰개혁과 한직 발령 여파로 사직 행렬이 이어질 전망이다.

김종현(사법연수원 33기) 대검찰청 공공수사기획관은 8월 22일 사직서를 제출했다.

김 기획관은 수원지검 공공수사부장 시절 이재명 대통령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을 수사했으며, 이번 인사로 부산지검 서부지청장으로 발령됐다.

김영철(33기) 서울북부지검 차장검사도 이날 검찰 내부망 이프로스에 사직 인사를 올렸다.

김 차장은 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과 문재인 정부 인사들의 한국복합물류 취업청탁 의혹을 수사했으며, 부산고검 검사로 전보됐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수사 검사들도 사직했다.

명태균 의혹 전담 수사팀을 이끈 이지형(33기) 부산지검 2차장과 김 여사 명품가방 수수 사건을 무혐의 처분한 김승호(33기)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은 각각 대전고검 검사, 부산고검 검사로 발령 후 사직했다.

또한, 호승진(37기) 대검 디지털수사과장(이재명 측근 김용 금품수수 의혹 수사), 이일규(34기) 북부지검 국가재정범죄합동수사단장(신영대 의원 새만금 태양광 비리 수사)은 각각 법무연수원 교수, 대구고검 검사로 전보된 뒤 사직 의사를 밝혔다.

김정훈(36기) 대검 범죄정보1담당관(제주지검 형사1부장 발령), 이재만(36기) 대검 노동수사지원과장(안동지청장 발령), 박승환(32기) 중앙지검 1차장, 단성한(32기) 고양지청장(인사 전 사표) 등도 사직했다.

법조계는 민주당이 9월 검찰청 폐지와 공소청·중수청(중대범죄수사청) 설립을 추진하며 검찰개혁 압박을 강화한 것이 사직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한다.

검사 이탈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