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의 관세 휴전에도 불구하고 중국 제조업 경기가 5개월 연속 위축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중국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8월 공식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Purchasing Managers' Index)는 49.4를 기록했다. 이는 전달의 49.3에서 0.1포인트 개선된 수치지만, 블룸버그 통신과 로이터 통신이 조사한 이코노미스트 추정치인 49.5에는 미치지 못하는 결과이다.
기업 구매 담당자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PMI는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을, 낮으면 경기 위축을 의미하는데, 중국의 PMI는 지난 4월 49.0을 기록한 이래 5개월 연속 기준점을 밑돌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제조업 부진의 원인으로 당국의 가격 경쟁 단속과 부동산 경기 침체, 폭우에 따른 홍수 피해 등을 지적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내 과잉 생산을 억제하기 위한 정부 정책이 관세 불확실성의 악영향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지방 정부가 치열한 경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산업에 대한 신규 투자를 제한하고 있으며 수익 감소와 디플레이션을 초래하는 관행을 비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로이터 통신은 "중국 경제가 미국 관세, 부동산 경기 침체, 고용 불안 심화, 과도한 지방 정부 부채와 극심한 기상 악화에 따른 수출 부진에 직면해 있다"며 이러한 압력이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인 약 5% 달성마저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서비스업과 건설업을 포함하는 비제조업 PMI 지수는 8월 50.3을 기록하여 전달의 50.1보다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수석 아시아 이코노미스트인 창수 연구원은 "과잉 생산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9월 3일 군사 퍼레이드를 앞둔 중국 북부 지역 공장의 일시적 가동 중단, 그리고 심화되는 주택 시장 침체로 인해 경제는 더욱 압박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콩 핀포인트자산관리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장즈웨이는 로이터 통신을 통해 "올해 남은 기간의 거시경제 전망은 주로 수출이 얼마나 강세를 보일지, 그리고 4분기 정부의 재정 정책이 얼마나 지원적으로 바뀔지 여부에 달려있다"고 예상했다.
한편, 지난 4월 상대국에 경쟁적으로 관세율을 올리며 대치하던 미국과 중국은 5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1차 고위급 무역 회담을 계기로 각각 1백15%포인트씩 관세율을 대폭 낮추기로 합의한 바 있다.
당시 양측은 상대국 수입품 대상 추가 관세율 1백15%포인트 가운데 4월에 매겨진 91%포인트는 취소하고, 나머지 24%포인트에 대해서는 적용을 90일 유예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