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사진=연합뉴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이 3일 국회 주도의 사회적 대화 참여를 결정하며, 1999년 2월 노사정위원회(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탈퇴 이후 26년 만에 노사정 대화 테이블에 복귀한다.

민주노총은 이날 서울 마포구청 대강당에서 중앙위원회를 열고 사회적 대화 참여 안건을 투표에 부쳤다.

재적 355명 중 261명이 참석해 142명의 찬성으로 안건이 가결됐다. 이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추진하는 국회 중심 노사정 대화 기구에 참여하는 결정으로, 대통령 직속 경사노위의 기능 부실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제안된 바 있다.

민주노총은 1999년 공기업·대기업 구조조정 반발로 노사정위를 탈퇴한 이후 복귀하지 않았다.

2005년 지도부가 복귀를 논의했으나 강경파 반발로 무산됐고, 노사정위가 노동계 양보만 요구하는 형식적 기구라는 인식으로 사회적 대화에서 멀어졌다.

문재인 정부 시기인 2018년 최저임금 심의 반발, 2020년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문 작성 직후 내부 반대에 부딪혀 불참하며 복귀 기회는 번번이 좌절됐다. 이번 결정은 민주노총이 노동 정책 결정 과정에 적극 참여해 노동계 목소리를 반영하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우원식 의장은 “노사정 대화는 노동자와 기업, 정부가 상생하는 기반”이라며 민주노총의 참여를 환영했다.

민주노총은 향후 국회 주도 대화에서 노동 조건 개선과 구조조정 문제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