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로고.사진=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협회)는 4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선수 피해가 형사 범죄 수준”이라며 “피해 선수를 대신해 법적 절차를 진행하는 등 강경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협회는 지난 8월 20~24일 163명 대상 설문조사에서 “SNS 악용 사례가 고도화·광범위화될 위험”을 지적하며, “비상식적 악성 사례를 사이버 테러로 규정하고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설문 결과, SNS 피해는 팀 패배나 선수 실책 직후 56퍼센트(%), 시즌 내내 15퍼센트(%) 발생했다.

피해 대상은 선수 본인 49퍼센트(%), 부모 31퍼센트(%), 배우자·여자친구 13퍼센트(%) 순이며, 가해 유형은 경기력 비난 39퍼센트(%), 가족 비방 29퍼센트(%) 등이다.

협회는 “살해 협박, 성희롱, 고인 모독, 스토킹·주거 침입 등 형사 범죄 사례”를 우려하며, 선수들이 스트레스 36퍼센트(%), 경기력 저하 14퍼센트(%), 수면·식욕 저하 11퍼센트(%)를 겪는다고 밝혔다.

대응은 무시·감수 39퍼센트(%), 차단·신고 28퍼센트(%)로 소극적이다.

선수협회는 “피해 선수 대리 형사고소·소송과 선수단 교육을 추진한다”고 전했다. 한국야구위원회(KBO, Korea Baseball Organization)도 다음 주 경찰청과 만나 피해 예방 및 후속 조치를 논의할 계획이다.